전북 전주시립도서관(꽃심) 안에 조성된 ‘우주로 1216’이 올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멋진 공간으로 뽑혔다(사진). 전주시가 어린이와 청소년 사이에 낀 12∼16세들만 이용하도록 전국 최초로 마련한 곳이다.
‘우주로 1216’은 18일 서울에서 열린 ‘2020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 시상식에서 대통령상 상장을 받았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 민간 등이 추천한 35개 공간과 경합 끝에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
심사위원회는 ‘우주로 1216’에 대해 12~16세 눈높이에 맞춰 도서관을 놀이와 탐구, 체험 등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창조해 공공도서관 공간문화의 새로운 상징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우주로 1216’은 12∼16세 이른바 ‘트윈세대’를 위한 전용 공간이다. 소통을 위한 ‘톡톡존’, 넘치는 에너지를 발산할 ‘쿵쿵존’,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슥슥존’, 사색의 공간인 ‘곰곰존’ 등 4개 공간으로 구성했다. 서가는 물론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과 편히 쉴 수 있는 소파, 태블릿PC, 영상·음향 장비, 피아노 등의 시설을 갖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때문에 최근 하루 30명만 입장토록 제한하고 있지만 지난 1월 방학 때는 하루 110여명의 청소년이 찾아왔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도서관은 단지 책을 읽고 빌리는 공간이 아니라 시민 삶의 중심으로 거듭나고 있다”면서 “예술전문도서관, 여행자도서관, 시집도서관, 정원도서관 등 고정관념을 깬 다양하고 창의적인 도서관을 조성해 시민들이 책과 함께 성장하는 ‘책 중심 도시 전주’를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