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대처 아슬아슬… 수도권·강원 단계 오늘 격상할 듯

입력 2020-11-17 04:03
김성호 강원도 행정부지사가 16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 관련 브리핑에서 현황과 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원도 등 일부 권역이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 기준을 이미 넘겼거나 충족할 것으로 예상되자 정부가 17일 해당 지역에 대한 격상 조치를 내릴 것으로 보인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정부 대처가 한 박자씩 늦는다”며 조속한 결단을 촉구해 왔다.

이날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8일부터 14일까지 1주일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하루 평균 국내 발생 확진자는 122.4명으로 집계돼 전주 대비 33.7명 늘었다. 최근 1주일로 한정했을 땐 하루 평균 144.1명이나 된다.

권역별로는 수도권과 강원도의 상황이 심각하다. 최근 1주일간 수도권의 일평균 확진자는 99.4명으로 거리두기 1.5단계 격상 기준인 100명에 육박했다. 강원도는 지난 14일부터 사흘 연속 1.5단계 격상 기준(10명)을 초과했다.

방역 전문가들은 정부가 지나치게 신중하게 접근하다가 적기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수도권의 상황 악화는 전국적 유행으로 번질 수 있다”며 “지난 주말에 격상 조치가 나와야 했다”고 말했다.

다가올 ‘방역 악재’를 앞두고 하루하루가 아쉽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엄중식 가천의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거리두기가 효과를 보려면 보통 2, 3주가량 걸리는데 곧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연말연시”라며 “최소한 기준을 이미 초과했거나 초과할 것으로 확실시되는 권역은 격상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날까지 격상 조치는 나오지 않았다. 정은경 방대본 본부장은 정례 브리핑에서 “수도권의 경우 어제 예비경보를 발령했고, 강원도도 격상 여부를 두고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하고 있다”며 “(집단감염이) 일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해당 지역 인근만 격상할지 권역 전체를 격상할지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격상 발표 시점은 17일로 예상된다. 매주 수·금·일요일 중대본 회의를 주재했던 정세균 국무총리가 화요일임에도 17일 회의를 주재하고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브리핑에 나설 예정이다. 박 장관은 주로 거리두기 단계 조정 등 주요 내용이 있을 때 직접 브리핑에 나섰다.

방역 당국은 ‘자발적 협력’에 대한 당부를 이어갔다. 각종 모임을 비대면화하거나 식사·음주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 본부장은 “실내활동이 늘어나고 연말연시 모임·행사 등 타인과의 접촉이 많아지는 시기”라며 “전국적인 대규모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서울 용산구 국방부 출입문이 16일 굳게 닫힌 모습. 국방부 영내에서 약 3개월 만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군과 보건 당국이 긴급 역학조사에 나섰다. 군내 누적 확진자는 196명으로 200명에 육박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방부는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계속 발생함에 따라 서욱 장관 주재로 긴급 주요지휘관 회의를 열고 수도권과 강원 지역 부대에 17∼29일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를 적용하기로 했다. 해당 지역 장병의 휴가나 외출은 지금처럼 방역 수칙 준수를 조건으로 가능하지만 집단감염이 발생한 지역의 장병 휴가는 현장 지휘관 판단 아래 연기를 권고하도록 했다.

한편 올해 인플루엔자(독감) 환자는 예년보다 적지만 점차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38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인후통 등을 보이는 독감 의사환자는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외래환자 1000명당 3.1명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7.0명보다 적지만 직전 1주의 1.9명보다는 늘어난 수치다. 정 본부장은 “아직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다면 11월 말까지 접종을 마쳐 달라”고 당부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