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추가경정예산을 교두보로 삼은 한국판 뉴딜이 본격 가동되고 있다.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을 양대 축으로 삼아 한국의 미래 먹거리를 찾는 작업에 착수했다. 국회 심의를 통해 1조2200억원을 편성한 ‘그린 뉴딜’의 경우 사업자 선정 과정을 거쳐 예산을 투입하기 시작했다.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전환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등의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일례로 3500억원을 투입한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사업은 최근 본궤도에 올랐다. 미래 먹거리의 기반을 닦고 산업생태계의 친환경 전환을 유도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15일 산업부 관계자는 “사업별로 대상 기업 또는 기관을 선정하는 작업을 거쳐 이달부터 예산을 투입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미래 먹거리 발굴과 관련해선 해상 풍력 사업이 눈에 띈다. 어민들의 반발과 같은 난제를 해결하지 못해 추진이 더뎠던 사업에 속도를 낼 방법을 찾는 과제다. 그동안 걸림돌이 돼 왔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해소할 수 있도록 해상풍력 관련 30여개의 연구개발(R&D)에 예산을 투입했다.
해양환경공단이 착수한 ‘해상풍력 입지정보도’ 제작 사업도 그중 하나다. 50억원의 예산을 들여 내년 12월까지 어민들과 갈등이 가장 적은 해상풍력 입지를 찾는 작업을 진행한다. 지리정보서비스(GIS)를 기반으로 어업 활동이 적은 입지를 분석해내는 작업이다. 손규희 해양환경공단 미래성장팀장은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서 규정한 12기가와트(GW)의 해상풍력과 관련해 어민들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입지를 찾는 과제”라고 설명했다.
산업생태계의 친환경 전환도 대상 기업 선정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700곳의 ‘클린 팩토리’ 구축 사업도 그중 하나다. 공장 밀집 지역인 산업단지 내 기업들의 노후 장비를 교체하고 유해 물질 저감 시설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비철금속을 다루는 하나금속의 경우 냉각 시스템을 개선하는 데 클린 팩토리 지원을 받기로 했다. 투자액 1억6000만원 중 3600만원을 지원받는다. 이건하 하나금속 차장은 “생산성도 높이고 직업 환경을 개선해 근로자들의 복지 측면도 고려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많은 예산을 단기간에 쏟아붓는 만큼 집행의 속도가 과제로 꼽힌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대한 연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국민일보-산업통상자원부 공동기획’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