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만대교 건설은 끊어진 동해안의 맥을 잇는 역사(役事)입니다.” 경북도민들이 간절히 바라는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중 하나가 바로 영일만 횡단대교(조감도) 건설이다.
경북도는 전국에서 제일 넓은 광역자치단체지만, 면적당 도로연장은 전국 최하위권이다. 접근이 용이한 고속도로 건설과 국가철도망 구축이 전국 어떤 자치단체보다 중요한 곳이란 뜻이다.
이 가운데서도 동해고속도로 단절구간 건설은 가장 중요하다. 동해안권 발전의 핵심 인프라이자 환동해시대 남북협력과 북방교역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단절구간 연결을 위한 영일만횡단구간 고속도로(L=18㎞, 사업비 1조6189억원) 건설은 무엇보다 시급하다.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포항시 동해면에서 흥해읍까지 바다를 건너는 해상교량을 설치해 부산에서 포항을 거쳐 북한, 러시아, 유럽으로까지 연결되는 아시안 하이웨이 6번 노선(AH6)의 핵심축이다. 미래 경북의 100년을 위한 북방교역의 대동맥을 경북에서 시작하게 되는 셈이다. 남북통일 시대를 대비하는 남북7축 국가간선도로망 구축 및 21C 환동해권의 물류허브 기능 강화와 동해안 관광산업 활성화, 국토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 건설은 꼭 필요하다.
경북도는 현재 추진 중인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L=30.92㎞, 1조3179억원)의 총사업비 변경을 통해 횡단대교가 건설되도록 국회 및 중앙부처 등을 찾아가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있다.
동해고속도로는 부산~속초까지 총연장 389.5㎞로 부산~울산 구간(47.2㎞)은 2008년, 울산~포항 구간(53.6㎞)은 2016년, 삼척~동해~속초(121.9㎞) 구간은 2016년 개통됐다. 현재 포항~영덕 구간(30.9㎞)은 총사업비 1조3179억원을 투입해 2016년부터 2023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영일만 횡단구간은 지난 2008년 정부의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돼 국가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 건설 당위성이 거론되기 시작했고 2009년 기획재정부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해 사업추진을 결정했다.
이어 2011년에 국토교통부 타당성 조사가 이뤄졌고 영일만을 횡단하는 해상 횡단안이 최적안으로 도출됐다.
하지만 2017년 기획재정부에서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KDI 한국개발연구원) 완료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추진이 오리무중이다.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 사업은 첫 출발 이후 규모가 계속 축소돼 지지부진하지만 건설 당위성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 영일만대로를 이용하는 교통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울산~포항 간 고속도로 개통 이후 국도대체우회도로(우복교차로~유강대교)를 이용하는 교통량은 지난 2014년 하루 평균 2만3000여대에서 지난 2019년 4만1000여대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라면 앞으로 영덕~포항 간 고속도로가 개통되는 2023년에는 교통량 증가로 교통체증은 물론 물류비용 증가 등 경제 사회적 손실이 우려되고 있어 하루 빨리 대교를 건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무엇보다 사업이 대형 국책사업인 만큼 정부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이 없으면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영일만 횡단대교가 건설되면 포항시 남쪽의 포스코와 철강산업단지,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와 북쪽의 영일만항, 배터리규제 자유특구가 네트워크형의 교통순환체계가 이뤄지면서 산업단지와 항만 조성에도 기여하게 된다.
경북도는 건설 중인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사업의 총사업비 변경으로 영일만 횡단구간을 포함해 추진하도록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에 수시로 찾아가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해운항만 전문가들도 “동해안 유일의 국제 컨테이너항만인 영일만항을 북방 진출의 거점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큰 그림을 그리는데 영일만 횡단대교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지진으로 고통 받고 있는 포항을 비롯한 경북 지역의 뉴딜사업으로 영일만 횡단대교 사업만한 것도 없다”면서 “하늘길, 바닷길을 연계하는 통합신공항~영일만항을 경북 물류 양대축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은 경북에서 어느 SOC보다 가장 먼저 건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