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전동 킥보드 등 개인이동수단(PM)의 무분별한 보도상 방치를 막기 위해 ‘우선 주차 허용구역’과 ‘주차 제한구역’ 등을 설정하기로 했다. 또 3차로 이상 도로의 가장 오른쪽 차로를 자전거와 PM 등이 이용할 수 있도록 ‘지정차로제’ 지정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10일 서울시교육청, 서울지방경찰청과 보행안전 공동협력 협약식을 갖고 시민의 안전한 보행권 확보를 위한 ‘보행안전개선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PM은 휴대성과 빠른 속도를 장점으로 이용 대수가 크게 늘어났지만 안전운행 미준수로 사고 건수가 전년대비 168%로 대폭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내 공유PM은 2018년 150여대에서 2020년 3만5850여대로 늘었으며 PM 사고는 2018년 50건에서 2019년 134건으로 16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보행권을 최우선으로 하는 조화로운 교통 요건 구축을 목표로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내년 지하철 역사 출입구 근처에 킥보드용 충전거치대와 부대시설을 설치한다. 시범사업으로 1~5개 역에 설치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경우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자전거 및 PM 이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자전거도로 설치율은 전체 도로연장(8282㎞) 대비 8%에 불과하다. 이에 3차로 이상의 도로의 가장 오른쪽 차로를 ‘자전거 등’이 이용할 수 있는 ‘지정차로제’ 지정 등 법령 개정을 추진한다. 다음달부터는 PM의 자전거 도로 통행이 가능해진다.
서울시는 공유 PM과 공유 자전거의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프리플로팅’ 방식을 개선하고 기기관리, 민원처리, 안전을 위한 보험상품 등 관리 체계를 수립한다. 주차 허용구역(12개)과 주차 제한구역(14개) 등 PM의 주차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기기 반납시에는 주차 상태를 촬영해 무분별한 보도상 방치 문제를 방지한다.
보행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해 2023년까지 대각선 횡단보도도 120곳에서 240곳으로 확대 설치하고, 어린이 보호구역 등 보행 취약 지역과 쇼핑 및 관광 수요가 많은 곳 등을 우선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검토한다. 종로구청 입구, 국기원 앞 등 보행수요가 많은 지역과 향후 세종대로 사거리 등에도 보행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대각선 횡단보도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도심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도로다이어트’ 사업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 도심 중심부는 퇴계로, 세종대로에 이어 충무로, 장충단로 등 도로공간재편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보도폭 확장, 고원식 교차로 및 횡단보도 설치 등을 실시하는 ‘생활권 도로다이어트’를 사업을 추진한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