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 없는 부산 “성장 위해선 산업구조 다양화 시급”

입력 2020-11-10 04:07
부산의 성장률 제고를 위해 기존 산업의 기술 고도화와 신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구조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는 1985~2018년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산업구조 변화로 본 지역 간 불균형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9일 발표했다.

부산은 과거 지역경제를 주도했던 섬유·의복, 가죽 제조업, 도소매, 운수·창고 산업 등의 쇠퇴 이후 전기·전자, 정보통신업과 같은 신성장 고부가가치 산업의 성장 부재로 전국 대비 낮은 성장률과 지역내총생산(GRDP) 비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은 1985년 주요 산업이었던 제조업, 운수·창고, 도·소매가 2018년 현재 전국비중과 역내 비중이 모두 감소하며 부진한 모습이다. 제조업 중분류에서 전국비중과 역내 비중이 모두 증가한 업종은 없었다. 부산의 주력산업인 기계·운송장비 제조업은 역내 비중은 증가했으나, 전국비중은 감소하는 등 대부분 산업이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전국 GRDP 연평균 성장률을 기준으로 그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산업을 고성장산업으로, 낮은 성장률을 보이는 산업을 저성장산업으로 나눠 지역별 산업구조 변화를 분석해 보면 부산은 고성장 산업 중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과 보건업, 사회복지서비스업만이 역내 비중과 전국비중에서 모두 증가했다. 제조업은 역내 비중과 전국비중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은 고성장산업 중 정보통신업, 제조업, 사업서비스업 등의 역내 비중과 전국비중이 모두 증가했고, 제조업 고성장 산업 중 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산업도 역내 비중과 전국비중이 모두 증가하며 성장세를 기록했다.

결국 부산은 과거 지역경제를 주도했던 산업 쇠퇴 후 대체 산업 부재로 성장률이 저하된 것으로 보인다. 또 신성장 산업과 고부가가치 산업의 성장이 부진하며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의 성장도 정체했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지역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동남권 메가시티를 통한 거대 산업공동체 추진, 부산형 뉴딜을 통한 지역의 새로운 발전 기회 마련, 해외생산기반을 가진 기업들을 대상으로 리쇼어링 유도 정책 추진 등을 정책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미정 경제동향분석위원은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은 수도권과 충청권에 편중돼 있어 부산의 육성 기반이 취약하므로 기존 지역산업 정책에서 발전된 4차 산업혁명 관련 성장 기반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