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가 초광역 협력사업을 발굴해 추진한다. 시·도 행정통합 논의 일정을 합의·발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내년 광주·전남 상생발전위원회 의제로 ‘초광역 협력사업 발굴’을 포함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광주·전남·북 웰에이징 휴먼헬스케어밸리 조성’ ‘광주·전남 영산강 유역문화권 개발’ ‘광주·전남 에그리텍 융합 사이언스파크 조성’ 등 3개 사업이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공동 출자한 광주전남연구원은 이 같은 초광역 협력사업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제안했다.
광주시와 인근 나주시 화순군 담양군 장성군 함평군 등 전남 5개 지자체도 시·도 통합 논의에 발맞춰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이들은 ‘2040 광주권 광역도시계획’ 수립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혐오시설을 포함한 광역시설의 효율적 기능분담 설정과 조직 체계화 방안 등을 향후 논의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2040년을 목표로 한 제5차 국토종합계획 대도시권 공간구조 전략을 바탕으로 광주권의 비전을 새롭게 설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지난 2일 민간중심 추진, 공론화위원회 구성, 연방제 수준 지방분권제도 개선, 현재 시·도청의 현재 위치 기능 유지 등을 골자로 한 6개 항의 ‘광주·전남 행정통합 논의를 위한 합의문’을 발표했다. 광주전남연구원이 통합 내용과 방법, 절차 등 제반사항에 관한 연구용역을 1년 동안 진행하도록 했다. 이후 준비 기간 6개월을 거쳐 시·도 각계 인사들로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천문학적 예산을 전제로 한 초광역 협력사업은 시·도 통합과 국토균형발전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