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 달라진 서울시의회… 정책 역량 높이고 언론 소통 강화

입력 2020-11-02 04:05 수정 2020-11-02 04:05

서울시의회가 확 달라졌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 부재 이후 서울시를 정책적으로 견인하고, 언론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등 지방의회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면서 위상 제고에 힘쓰고 있다. 또 ‘지방의회 맏형’으로서 지방분권을 강화하는 내용의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앞장서고 있다.

서울시의회는 2일 ‘서울 정책진단TF’ 현판식을 가질 예정이다. 현판식에는 김인호(사진) 시의장을 비롯한 의장단과 정책위원회 위원장단, 사무처장 등이 참석한다. 서울시의회가 ‘서울 정책진단TF’를 구성·운영하는 것은 시장이 공석인 상태에서 서울시의 정책 추진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시민을 위한 정책을 선제적으로 제안하기 위해서다. TF는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일까지 운영된다. 시의회는 서울시 정책진단을 통해 발굴된 과제를 신임 시장에게 제안할 계획이다. 정책진단TF는 정책진단 및 정책제안 결정을 위한 전체위원회, 진단 및 제안을 위한 정책개발의 효율성 확보를 위한 분과위원회로 이원화해 운영한다.

서울시의회는 2일 첫 대변인 브리핑을 예고했다. 공동 대변인을 맡고 있는 한기영·최선 시의원이 나서 11월 3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되는 ‘2020년 행정사무감사’ 운영방향을 설명하고 2021년도 서울시 예산안 심의 기조에 대해 밝힌다. 국회가 정부 부처를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하듯 서울시의회는 집행부인 서울시의 행정사무를 감사한다. 서울시의회는 이번 행정사무감사에서 노동특별시를 만들겠다고 했던 박 전 시장의 시정철학과 달리 산하기관 콜센터 직원들의 정규직화 지연 등 노동정책 후퇴를 집중적으로 따질 계획이다.

또 서울시의회는 내년도 서울시 예산안을 꼼꼼히 심의해 낭비 요인을 줄이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 및 민생 지원 예산 등을 늘릴 방침이다. 예산안 심의를 통해 시민들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감시함으로써 지방의회의 존재감을 알리고 정책지원 전문인력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서울시의회는 앞으로 대변인 브리핑을 정례화하여 언론 홍보를 강화한다.

이와 함께 서울시의회는 2일 김인호 의장을 비롯한 시의원 전원이 참석해 30년 숙원과제인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 통과를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진다. 김정태 운영위원장이 제안설명을 하고 이준형 최정순 시의원이 결의문을 낭독한다. 이어 최선 의원의 선창으로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 ‘정책지원 전문인력 도입’의 구호를 제창한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