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자살예방포럼(공동대표 윤호중 윤재옥)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공동위원장 신용길 이경룡)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안실련, 공동대표 권도엽 정재희 박영숙 백헌기)이 지난 29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국회자살예방포럼 출범기념 국제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 자살예방정책 현황과 나아갈 방향’을 주제로 한국(아시아) 미국(아메리카) 호주(오세아니아) 덴마크(유럽) 등 대륙별 자살예방 전문가들이 참여해 각국 자살예방정책 방향을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 세미나에서 크리스틴 모건(호주 국가정신건강위원회 대표) 박사는 “호주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자살예방 등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4810만 호주달러(약 400억원)를 투입, 전국 정신건강 및 웰빙 유행성 대응 계획을 채택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자살예방은 정신건강 계획의 10가지 우선순위 영역 중 하나”라며 “코로나19가 정신건강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자살에 가장 취약한 커뮤니티까지 혜택이 도달하도록 보장하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대표로 주제발표를 한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어려울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최하위(평균 88, 한국 72)”라고 꼬집었다.
백 센터장은 세미나 후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코로나19 팬데믹 가운데 전 세계가 극찬한 한국의 방역모델을 자살예방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일 것”이라며 “지자체 중심으로 위기에 빠진 사람을 찾아내 상담을 지원하고 전화,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종교계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쉬움과 함께 기대를 전했다. 국내 7대 종단 대표들은 지난해 6월 ‘부족했던 자살예방 활동 참회’를 선언한 데 이어 11월엔 ‘6대 종단 종교계 자살예방 지침서’를 출간했다. 하지만 이후 각 교단의 자살예방을 위한 실질적 움직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백 센터장은 “1인 가구가 지속 증가하는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커뮤니티 케어는 생명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며 “종교계가 자살예방에 대한 인식개선, 고위험군 발견, 전문가 상담 및 치료 안내 등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발제 후에는 양두석 가천대 교수, 장은진 한국심리학회장, 서일환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이 토론하며 자살예방을 위한 전 세계 공동의 노력과 정보 공유를 촉구했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