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예탁결제원 등을 대상으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옵티머스 사태에 대한 공세가 이어졌다. 예탁원은 옵티머스 사모펀드의 사무관리 기관인 만큼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지적을 받았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예탁원이 옵티머스자산운용의 요구에 따라 비상장회사의 사모사채를 공공기관 매출채권인 것처럼 자산명세서에 기재해줬다”며 “이걸 단순 실수라고 이해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예탁원은 2016년 4월 11일부터 올해 5월 21일까지 비상장회사인 라피크, 씨피엔에스, 대부디케이이엠씨 등의 사모사채를 자산명세서에 기재하면서 종목명을 부산항만공사와 한국토지주택 매출채권 등으로 입력했다. 이명호 예탁원 사장은 “업계의 일반적 관행에 따라 자산운용사가 보내주는 정보를 바탕으로 자료를 작성했다”며 “지적을 업무에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강 의원은 “옵티머스가 단지 운이 좋았다고 볼 수 없다”며 “옵티머스 주주였던 이모 변호사가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했는데, 청와대에서 기관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옵티머스 펀드 사기 사건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이진아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행정관은 23일 열리는 정무위 국감에 증인으로 소환됐지만 이날 불출석 사유서로 거부 의사를 밝혔다.
이 전 행정관은 옵티머스 주식 10만주(지분율 9.85%)를 보유한 사실을 숨기고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청와대에 근무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수천억원대 펀드 사기 혐의로 구속 기소된 옵티머스 사내이사 윤모 변호사의 부인이기도 하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예탁원이 책임을 축소하는 모습을 보이자 “펀드 판매사가 수탁은행을 통해 매출채권과 사모사채 실제 존재 여부를 확인했어야 한다는 게 예탁원의 입장이냐”며 “예탁원은 책임을 지겠다, 반성한다고 계속 나와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고 질책했다. 그는 예탁원의 태도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식품에 유해 물질이 있는지 확인할 책임을 슈퍼마켓 주인에게 떠넘기는 상황에 비유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