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오래된 농공단지 재생 작업으로 활성화

입력 2020-10-19 04:08
전북도가 오래된 농공단지에 새 생명을 불어 넣기 위해 전국 최초로 재생 작업에 나선다. 전북도는 노후 농공단지를 전북형 성공모델로 추진,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도는 농공단지 관리권자인 시장·군수의 적극적인 관심 유발과 쾌적한 환경조성·입주기업 불편해소·청년일자리 창출 등의 적극 행정을 유도하기 위해 내년부터 시·군 평가를 도입해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정부의 농공단지개발정책에 따라 전북에서는 1984년 남원 인월농공단지가 시범단지로 처음 조성됐다. 현재 59개 단지가 지정됐고 57개 단지가 운영중이다. 이곳에는 977개 업체가 입주했고 1만 5000여명이 일하며, 연간 8조2000억원의 생산액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산업단지와 달리 중앙부처 예산지원 부족과 불리한 입지, 고령화, 33만㎡ 이하의 소규모 부지, 열악한 기반시설 등의 이유로 지속가능성에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도는 최근 노후한 도내 농공단지 재생과 발전 방안을 위해 학계와 농공단지협의회, 시·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토론회를 가졌다. 13일 전북연구원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다양한 목소리를 냈다.

전북연구원 양원탁 박사는 “지역농업과 시·군별 전략사업과 연계해 6차 산업화와 고도화를 추진하는 한편, 기업·산업·사람이 공존하는 농어촌 성장거점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태호 전북농공단지 협의회장은 “농공단지 입주기업이 영세하다 보니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물류비나 폐수처리 위탁처리비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