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가 소득을 모두 내 집 마련을 위해 사용했을 때 서울 평균 가격의 아파트를 사려면 15년(2019년 12월 기준)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실이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 통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16~2020년간 가구주 연령대별 서울 아파트 PIR’ 자료에 따르면 39세 이하가 가구주인 2인 이상 도시 가구의 서울 평균 가격 아파트(2020년 6월 현재 8억7189만원) PIR은 2017년 6월 11.0에서 지난해 12월 15.0으로 늘었다. PIR(Price to Income Ratio, 단위: 연)은 주택 가격을 가구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가구가 소득을 한푼도 쓰지 않고 모았을 때 주택을 살 수 있는 기간을 뜻한다.
김 의원실은 국토부와 감정원이 추출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와 연령별 가구 소득을 토대로 이 값을 산출했다. 39세 미만 가구의 PIR은 박근혜정부 때인 2016년부터 2017년 6월까지 10.9에서 11.0으로 0.1 증가했다. 2017년 말에는 12.1을 기록했고 2018년 12월에는 13.3, 지난해 12월에는 15.0으로 늘었다. 매년 1년 이상씩 증가한 셈이다.
주택값이 오른 만큼 30대 이하 가구주 외에도 모든 연령층에서 PIR 값이 올랐다. 같은 기간 40대 가구의 PIR은 10.2(2017년 6월)에서 13.6(2019년 12월)으로 3.4, 50대 가구는 3.2가 증가했다. 60대 이상 가구까지 포함한 전체 PIR은 11.4에서 15.2로 3.8 늘었다.
김상훈 의원은 “사회 초년생으로 자산이 적고 소득 수준이 낮은 20, 30대가 서울 집값 상승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면서 “정부가 주거 대책을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