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사진) 대통령은 14일 옵티머스·라임 펀드 사건 수사와 관련해 “검찰의 엄정한 수사에 어느 것도 성역이 될 수 없다”며 “검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라고 지시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문 대통령이 옵티머스·라임 수사에 대해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런 ‘정면 대응’ 기조는 관련 수사에서 청와대가 문제 될 만한 것이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을 만나 “검찰 수사에 대해 청와대가 개입할 수 없다”며 “수사에 대해 성역이 없으니 자료 협조 요청이 오면 적극 협력하라는 취지”라고 말했다.
앞서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지난해 7월 28일 청와대에서 이강세 전 스타모빌리티 대표를 만났다고 직접 밝힌 바 있다. 라임 사태 주범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은 법정에서 ‘이강세 대표를 통해 강 전 수석에게 5000만원이 전달된 것으로 안다’는 취지의 증언을 했지만, 강 전 수석은 강하게 부인하며 김 전 회장을 고소했다. 만난 적은 있지만 돈을 받지 않았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의 지시는 이 전 대표가 청와대에서 강 전 정무수석을 만난 것이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검찰이 청와대에 출입기록과 CCTV 영상을 요청했다는 전날 한 언론 보도를 보고받은 뒤에 나왔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청와대는 검찰이 라임 수사 관련해 출입기록 등을 요청하면 검토해서 제출할 계획”이라며 “다만 검찰이 요청한 CCTV 자료는 존속 기한이 지나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날 청와대는 “청와대 출입기록 등은 공공기관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다”고 했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직접 검찰 수사에 협조하라고 지시하자 하루도 안 돼 적극적으로 협조 의사를 밝힌 것이다.
앞서 여당에서도 여권 인사들의 라임·옵티머스 사건 연루 의혹과 관련해 “시중의 ‘카더라 통신’을 인용하는 수준”이라며 공세적인 반박이 나왔다. 여당에 이어 문 대통령이 직접 수사 협조를 지시하며 정면 돌파에 나선 것이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