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4개월 전에 비해 소폭 올려잡았다. 하지만 선진국과 세계 경제 회복세에 비해서는 상향 폭이 크지 않았다.
IMF는 13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9%로 4개월 전보다 0.2% 포인트 상향했다. 내년 성장률은 2.9%로 0.1% 포인트 낮췄다.
IMF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심화돼 큰 폭의 경기 위축을 전망했던 지난 6월에 비해 세계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과 유럽연합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실적이 개선된 점 등을 반영하여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을 -5.8%로 지난 6월 대비 2.3% 포인트 올렸다. 세계경제 성장률 역시 -4.4%로 0.8%포인트 높였다.
반면 신흥국은 중국경제의 회복에도 불구하고 인도 경제가 급격히 악화되면서 -3.3%로 하향조정(-0.2% 포인트)했다.
IMF는 2분기에는 코로나19 영향이 축소되면서 세계 경제가 나아졌다고 분석했다. 중국을 필두로 글로벌 교역도 소폭 회복되고 있다고 봤다. IMF는 그러나 한국의 경우 대외수요 약화에 따른 수출부문 타격으로 2분기 GDP가 예상보다 부진했다고 언급했다.
IMF는 세계경제가 3분기에는 부분적으로 강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4분기 들어 회복 모멘텀은 약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코로나19 팬데믹 전개 양상이 불확실하다면서 향후 세계경제가 회복될 가능성보다는 악화될 가능성을 높게 봤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움직임 등은 긍정적이지만 코로나19의 재확산, 세계 각국의 금융여건 긴축, 기업 유동성 부족 및 도산,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은 경제 하방 요인으로 봤다. IMF는 이번 전망에서 한국경제에 대해 상세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IMF의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1.0%), 한국개발연구원(KDI, -1.1%), 한국은행(-1.3%) 등 대내외 기관보다 낮은 편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이번 IMF 전망은 최근 국제신용평가사 피치(Fitch)가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의 AA-로 유지하는 등 대외적으로 한국 경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