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옵티머스자산운용 사태 연루 의혹을 받는 여권 인사들의 공통적인 해명은 ‘만난 적은 있지만 부정한 청탁이나 대가는 없었다’는 것이다. 라임·옵티머스 측과의 접촉과 대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것이지만 야당은 이 같은 천편일률적인 해명이 너무 군색하다고 주장한다.
라임자산운용 사태 핵심 인물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최근 법정에서 현금 5000만원을 건넨 대상으로 진술한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13일 한 라디오에서 이를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부인했다. 그는 김 전 회장 측근인 이강세 전 대표를 지난해 7월 28일 청와대에서 20분간 만난 사실은 인정했지만 돈을 주고받은 일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청와대로 출퇴근할 때 엑스레이 검색대를 통과한다”며 “현금 5000만원을 가지고 청와대에 들어온다는 것은 상식(에 어긋나고), 청와대 구조를 안다면 그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경기지사에게도 옵티머스 사태의 불똥이 튀었다. 검찰이 확보한 옵티머스자산운용의 ‘펀드 하자 치유 관련’ 문건에 옵티머스 고문을 맡았던 채동욱 전 검찰총장이 이 지사를 만나 관련 사업 인허가 청탁을 했다는 내용이 기록돼 있어서다. 이 지사는 이에 대해 최근 페이스북에 “메모(문건)에 등장하는 변호사(채 전 총장)와는 5월 여러 지인과 함께 만나 장시간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물류단지를 포함한 특정 사업에 대해서는 질의나 청탁을 들은 일이 없고 저 역시 언급한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다.
민주당 전현직 의원들도 관련 의혹을 완강히 부인하고 있다. 김모 의원은 지난해 국회 의원회관을 찾아온 김 전 회장 등으로부터 ‘라임 펀드는 문제가 없다’는 취지로 금융감독원이 나서게 해 달라는 청탁을 받고 그 자리에서 금감원에 전화를 걸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하지만 김 의원은 전날 원내 지도부에 “전화를 건 사실은 있으나 직접 찾아온 지인의 부탁이어서 형식적으로 한 것일 뿐 어떤 대가성도 없었다”는 취지로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춘 국회 사무총장도 이날 페이스북에 “저는 라임 사건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검찰 측에서 라임 사건으로 소명 요청을 해 가능한 날짜를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라임 사태가 불거지면서 가장 먼저 언급됐던 기동민 의원은 최근 검찰에 소환돼 조사를 받았다. 2016년 4·13 총선 당시 후보시절 선거사무실에서 김 전 회장으로부터 수천만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고, 당선 후 축하 선물로 고가의 맞춤 양복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는다. 기 의원은 지난 8월 공식 입장문을 통해 “라임 사건과 어떤 관계도 없고, 정치자금을 받은 사실이 결코 없다”고 해명했다.
야당 내에선 그러나 연루된 인사들의 해명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말도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거론되는 인사들의 일방적 해명을 100% 사실로 볼 수는 없다”며 “검찰이 모든 의혹을 철저히 수사해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가현 박재현 기자 hyun@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