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라임·옵티머스자산운용의 권력형 게이트 의혹 핵심 증거인 이른바 ‘금품수수 리스트’는 없다고 자체 조사 결과 결론지었다. 옵티머스자산운용의 ‘펀드 하자 치유’ 문건 등 일부에서 거론되는 명단 역시 뇌물 리스트가 아닌 옵티머스 측이 자체적으로 로비 대상을 지목한 수준의 명단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은 이를 근거로 야권을 “시중의 카더라 통신을 인용하는 수준”이라고 맹비난하고 나섰다. 하지만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민주당은 청와대·여권 인사 20여명의 이름이 적혀 있다는 옵티머스 리스트도 최근 거론되는데 이것이 실제로 리스트는 아닌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13일 “라임·옵티머스 측이 청와대 직원이나 의원에게 돈을 건넨 리스트는 없다고 본다. 최근 거론되는 것들은 자체적으로 구명 로비 대상을 정리한 수준”이라며 “두 사건은 사모펀드 금융사기 사건이고, 청와대·여당이 불법 구명 로비를 했다는 권력형 게이트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파악됐다”고 선을 그었다. 라임·옵티머스 측이 일부 의원 등을 로비 대상으로 지목해 만난 사실 등을 기록했더라도 실제 금품을 준 목록이나 명단은 발견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김태년 원내대표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전날 라임·옵티머스에 대해 권력형 게이트라고 규정했는데 도대체 뭐가 나왔기에 권력형 게이트라는지 모르겠다”며 “제1 야당이 권력형 비리 게이트라고 주장하려면 최소한 그에 부합하는 사실이나 근거를 제시해야 되는 거 아닌가. 시중의 카더라 통신을 인용하는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이에 따라 별도 대책회의나 자체 조사도 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이들과 엮인 개인비리가 검찰 수사로 드러난다면 법대로 처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한 지도부 의원은 “수사 결과 민주당 의원이 개인적으로 불법 뇌물을 받은 것으로 나온다면 그 결과대로 처리하면 그만”이라며 “일일이 대책회의나 진상조사를 벌이는 건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낙연 대표도 전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 차원의 대응방침을 묻는 질문에 “나올 게 뭐가 있나. 법대로 밝히고 철저히 하면 될 일”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이 같은 행보는 야권의 주장과 달리 당 의원들이 불법 행위에 연루되지 않았다는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야권의 특검 도입 주장을 차단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관측도 있다. 그렇더라도 검찰 수사 중 여당 지도부가 결과를 예단해 발언한 건 경솔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