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AI 기반 지능형 도시’ 구축, 산업 혁신 선도 야망

입력 2020-10-14 04:07

대전시가 ‘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도시’의 성공 모델을 구축해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13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한국판 뉴딜 시·도지사 연석회의’의 발표자로 나서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허 시장은 “정부의 데이터댐과 대전의 공공·민간 데이터를 활용해 전 산업분야에 혁신을 일으킬 것”이라며 “대덕특구의 출연연구소, 스타트업과 협업해 안전·교통 등 시민 서비스를 AI 기반의 스마트시티로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AI 기반 지능형 도시는 AI·데이터·소프트웨어(SW) 등 AI 관련 생태계를 강화해 도시 전역을 스마트시티화하는 것이 목표다. 각종 도시문제 해결, 지능형 행정서비스 제공, 창업 및 일자리 창출 등의 효과가 예상된다.

시는 혁신도시로 지정된 대전역세권·연축지구 개발과 국토교통부의 도심융합특구사업을 연계, 이 곳을 AI 기반의 스마트·그린시티로 만들어 국가균형발전의 선도 모델로 재탄생시킨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달 전국 최초로 과학부시장제를 도입하고 대전형 연구개발(R&D) 전문기관인 과학산업진흥원을 설립했다. 또 ‘대덕융합연구센터’ 조성을 위해 충남대·한국과학기술원(KAIST) 일대에 스타트업파크를 조기에 완성하기로 했다.

사업의 4대 전략은 인공지능하기 좋은 대전(인프라구축), 인공지능을 잘하는 대전(AI인재양성), 인공지능으로 잘사는 대전(지역경제혁신), 인공지능과 함께 품격 있는 대전(삶의질 향상) 등으로 설정했다. 사업 방향은 융합연구혁신센터 및 특구리노베이션을 AI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지능화 행정서비스·산업 AI 지원·AI 창업 등을 통한 혁신 생태계 구축에 힘쓰는 것이다.

특히 대전을 전국 기업 및 AI인재가 모여드는 거점으로 조성하는 한편 공공 도시 연구데이터 등을 개방해 민간이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생태계도 구축한다.

시는 오는 2025년까지 국비 1254억원, 시비 1597억원 등 총 3176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방침이다.

사업이 완료될 경우 대덕에서 개발된 각종 기술이 전국 규모로 확장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대전시는 현재 AI 지능형 도시 조성과 트램 중심 친환경 교통체계 구축 등 디지털 뉴딜 51개, 그린뉴딜 40개, 안전망 강화 9개 등 대전형 뉴딜 프로젝트 100대 과제를 추진 중이다. 허 시장은 “대한민국을 선도하는 AI 기반 지능형도시의 성공모델을 창출해 국내를 넘어 전 세계로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