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 마스크, 휴지, 세면용품 등이 바다를 건너 배달되는 데 걸린 시간이다. 전남 여수 동북쪽의 장도에서 모바일 앱으로 생필품을 주문하자 드론과 자율주행 로봇이 움직였다. GS칼텍스 소호주유소에 있던 드론이 인근의 GS25 편의점에서 받은 4㎏ 남짓한 생필품을 싣고 0.9㎞의 바닷길을 날았다. 장도 잔디광장에 있던 자율주행 로봇이 이를 전달받아 0.7㎞를 달려 장도 창작스튜디오로 배송을 마무리했다.
GS칼텍스는 13일 여수 장도에서 이 같은 드론 및 로봇 배송을 시연했다. 주유소를 드론 배송 거점으로 활용해 편리하고 신속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드론 이착륙이 어려운 장소에서 주문하는 경우에 대비해 자율주행 로봇과 드론을 결합해 활용하는 방안도 연구 중이다. GS칼텍스는 “기존 유통 인프라에 접근이 어려운 도서지역에 생활물품과 구호물품을 비대면으로 배송할 수 있게 돼 물류 사각지대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GS칼텍스는 2015년부터 여수공장에서 인력 접근이 어려운 설비 상부의 부식과 균열 점검을 위해 드론을 활용해 왔다. 이번 시연을 시작으로 드론을 본격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협업해 여수에서 드론과 로봇을 이용한 도서지역 배송 실증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GS칼텍스는 지난 4월 인천물류센터에서 유류 샘플 드론 배송 시연을, 지난 6월 제주도 무수천 주유소에서 편의점 상품 드론 배송 시연을 하는 등 드론 배송 시스템 구축을 시도해 왔다.
GS칼텍스 관계자는 “주유소를 전기차 충전, 수소차 충전, 카셰어링, 드론·로봇 배송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