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에 새 경매 방식 발명한 밀그럼·윌슨

입력 2020-10-13 04:02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폴 밀그럼(72)·로버트 윌슨(83) 교수가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폴 밀그럼과 로버트 윌슨 교수를 2020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 수상자는 상금 1000만크로나(약 13억원)를 나눠 받는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 선정 이유로 “경매는 어디에서든 벌어지고, 우리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밀그럼과 윌슨은 경매 이론을 개선했고, 새 경매 형태를 발명해 전 세계 매도자와 매수자, 납세자에게 헤택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밀그럼 교수는 회계사로 일하다 경제학자로 방향을 틀었다. 현재 스탠퍼드대 인문학부 교수인 그는 경매와 인센티브 이론, 산업경제학, 경제사, 게임이론 등 다양한 경제학 분야를 연구해왔다. 특히 공공재뿐 아니라 입찰자에게 각기 다른 사적인(private) 가치를 제공하는 영역에까지 경매 이론을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구글의 기업공개(IPO) 당시 지분 경매 자문 등을 맡기도 했다.

윌슨 교수는 스탠퍼드대 경영학부 명예 교수로 몸담고 있다. 하버드대 전액 장학생 출신인 그는 경매 등 경쟁입찰, 가격결정 계획, 임금협상 모델 등을 주로 연구해왔다. 특히 공공재에 대한 경매 이론을 발전시킨 인물로 꼽힌다. 석유, 통신, 전력 등의 분야에서 경매 모델 개선에 기여했다.

이들 두 교수는 학생과 지도교수로 만나 신 경매 이론의 공동 설계자가 됐다. 항공기 착륙지와 무선 주파수 등 복잡한 재화를 분배하는 데 있어서 수익보다는 사회적 이익을 고려한 경매 방식을 발명했다. 미국은 1994년 이들의 경매 이론을 처음으로 도입해 통신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무선 주파수 경매를 실시했다. 이후 다른 나라들도 이 이론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김정유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는 “윌슨 교수는 완전 경쟁 시장에서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는 전통적인 시각에 의문을 품고, 소수 경쟁 기업 간 전략적으로 결정되는 가격 형성 과정에 관심을 가졌다”면서 “밀그럼 교수는 (윌슨의) 제자로서 함께 경매이론을 크게 발전시킨 공헌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밀그럼 교수와 윌슨 교수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수여하는 MSRI상을 각각 2016년과 2017년 수상했을 때부터 노벨경제학상 수상이 예견됐다”고 덧붙였다.

왕규호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도 “윌슨 교수는 이미 1960년대에 경매이론 관련 논문을 썼을 만큼 선구자적인 인물”이라며 “1990년대 초반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의 주파수 경매 당시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을 처음 제시하고, 결과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것이 주효하게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박재찬 기자,세종=신재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