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원대 투자 피해를 초래한 라임·옵티머스자산운용 사모펀드 사태가 여권 연루설과 결합되며 정국의 화약고로 떠올랐다. 야당은 라임·옵티머스 펀드 사태를 초유의 여권 인사들이 개입된 ‘권력형 게이트’로 규정하고,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 여권 핵심부 인사들 실명까지 언급하면서 총공세에 나섰다. 야당은 특검 도입도 주장했지만 여당은 이를 근거 없는 정치 공세로 일축했다.
12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야당은 라임·옵티머스 사태에 대해 “사모펀드 불완전판매 사안이 아닌 정권 차원의 게이트”라고 주장했다.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은 정무위 국감에서 “지금까지 행태를 보면 증권범죄합동수사단이 폐지되고, (사모펀드 관련) 검찰 수사가 검찰 총장한테도 보고되지 않았다”며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했다”고 주장했다.
옵티머스 측이 정·관계 인사 이름을 적어뒀다는 이른바 ‘펀드 하자 치유’ 문건도 논란이 됐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은성수 금융위원장을 향해 “채동욱 전 검찰총장이 옵티머스 고문으로 활동하며 이재명 경기지사 등과 만나 인허가 청탁을 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성일종 의원도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와 양호 전 나라은행장이 옵티머스와 관련된 것을 아느냐”고 추궁했다. 은 위원장은 “저희가 알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2017년 대주주 변경 사후 승인을 신청하던 김재현 당시 옵티머스 대표와 금융위 직원의 통화 녹취를 공개했다. 금융위 직원이 “민원실 1층에 오셔서 전화주시면 내려가서 접수하도록 하겠다”고 말하자, 김 대표는 “신청서를 양호 회장께 받아서 준비해 가겠다”고 했다. 야당은 “양 전 행장 이름이 거론된 것도 금융위 윗선과 관계가 있지 않고선 있을 수 없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금융위는 입장문을 내고 “특정 업체에 대한 특혜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감 대책회의에서 “(연루된 인사들 중) 강 전 수석, 이 대표, 이 지사, 기동민 의원 등이 언급된다”며 “검찰 수사가 미흡하면 특검에 맡기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여권 인사들이 투자자 호주머니를 털기 위해 권력을 동원한 것”이라며 “치밀한 팀플레이”라고 맹비난했다.
법사위 국감에선 검찰 수사 상황이 도마에 올랐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강 전 수석이 라임 측으로부터 5000만원을 받았다는 진술과 관련해 “그런 진술이 나와 (서울중앙지검이) 조사했고, 돈을 받은 적 없다는 게 조서에 기재돼 있다고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혁진 전 옵티머스 설립자 송환에 대해선 “9월 24일 범죄인 인도 청구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이 면책특권 뒤에 숨어 의혹 부풀리기에 몰두하고 있다”며 “무분별한 의혹 제기에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낙연 대표는 “근거 없는 거짓 주장이나 의혹 부풀리기에는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민철 이상헌 기자 listen@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