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옵티머스 펀드 사기 사건과 라임사태는 문재인정부 들어 발생한 최대 금융 관련 사고다. 옵티머스자산운용과 라임자산운용은 사모펀드를 모집, 운영하는 과정에서 불법과 탈법으로 투자자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피해 규모는 옵티머스 5000억원, 라임 1조6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이 사건에 여권 핵심 인사 연루설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단순 사기가 아닌 권력형 비리 게이트로 비화될 조짐마저 엿보인다.
검찰이 확보한 옵티머스 내부 문건엔 여권 인사 연루설을 뒷받침할 구체적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다고 한다. 정부·여당 관계자들이 펀드 수익자로 일부 참여했다는 내용과 함께 정관계 및 재계 인사 20여명의 실명과 직책이 적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채동욱 전 검찰총장 등 전직 고위 관료 이름도 보인다. 본인은 강력 부인하고 있으나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의 금품수수 의혹도 불거졌다. 라임자산운용 전주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은 지난주 열린 이모 전 스타모빌리티 대표 공판에서 “강 전 수석에게 금융감독원 조사 무마를 청탁할 목적으로 현금 5000만원을 이 전 대표에게 전달했다”고 증언했다. 그런가 하면 원조 친노로 불리는 이상호 더불어민주당 부산 사하을 지역위원장은 김 전 회장으로부터 8000만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지난 7월 구속됐다.
이 위원장 외에 얼마나 많은 정부·여당 인사들이 옵티머스자산운용과 라임자산운용의 로비를 받았는지 현재로선 알 수 없다. 하지만 ‘이 위원장뿐이겠는가’ 하는 합리적 의심을 가능하게 하는 정황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국민의힘의 특별검사 도입 요구를 터무니없는 정치공세로만 치부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검찰의 더딘 수사가 오히려 온갖 억측과 의혹을 부풀린 측면이 있다. 이 사건의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가늠하기 어렵다. 그럴수록 검찰은 있는 그대로 실체적 진실에 접근해야 한다. 수사에 정무적 판단이나 다른 외부적 요인이 개입할 경우 검찰은 말할 것도 없고 정권의 존립이 흔들린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사설] 옵티머스·라임사태 여권 연루 의혹 성역 없이 파헤쳐야
입력 2020-10-13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