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영주댐 방류 계획 철회하라”… 지역사회 거센 반발

입력 2020-10-12 04:05

경북 영주댐(사진) 방류 결정을 놓고 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11일 영주시와 영주시의회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달 21일 영주댐 협의체 소위원회 회의를 열고 오는 15일 오전 11시부터 댐 물을 내보내기로 결정했다. 지난 6일 열린 소위원회에선 하루 수심 1m 이내로 초당 50t을 약 80일 동안 방류하기로 했다. 댐 안정성과 수질생태 검사를 위한 시험 담수가 끝나 다시 댐 물을 비운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영주시의회, 영주댐수호추진위원회(이하 댐수호위) 등은 “시민 의사를 전혀 반영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한 방류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방류로 수위가 낮아지면 경관훼손뿐만 아니라 댐 건설로 고통 받는 인근 지역 농업용수 공급에 문제가 있는 만큼 최소 수위 149m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시의원, 댐수호위원 등은 방류를 저지하기 위해 지난 6일 댐 협의체 소위원회 회의장을 항의 방문하기도 했다. 이영호 의장 등 영주시의원들은 지난 7일 청와대 관계자와 면담을 갖고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유지용수 확보, 하류 하천 홍수피해 경감, 농업용수 공급 등 댐 본연 기능 유지를 위해 담수는 꼭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영주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 전달하겠다”고 답했다.

댐수호위는 댐 방류를 막기 위해 수문 하류에 텐트를 치고 농성할 계획이다. 또 시민을 상대로 방류 반대 서명 운동도 전개하고 있다.

영주시도 환경부의 댐 방류 결정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시 관계자는 “완전 방류(자연수위:EL.125m)는 당초 영주댐 담수를 기준으로 추진하는 각종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농번기 농업용수 적기 공급 불가 등 가뭄 대책 추진에도 차질이 빚는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방류에 따른 피해 등 모든 문제는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며 “시민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정부와 정치권에 계속 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영주댐은 낙동강 유지용수 확보 등을 위해 2009년 착공, 2016년 준공했다. 1조1000억원의 사업비가 들어갔다. 그러나 안전성, 녹조 문제 등으로 그동안 물을 제대로 담지 못했다. 영주시는 댐 건설에 따른 관련 관광, 농업용수 등 관련 사업에 지금까지 1747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했다고 밝혔다.

영주=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