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연이은 ‘코나 일렉트릭(EV)’ 발화 사고의 원인으로 배터리를 지적하며 2만5000대의 ‘리콜’(자발적 제작 결함 시정)을 결정했다. 특히 이번 발표는 LG화학의 배터리 셀 공정에 결함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는 만큼 후폭풍이 예상된다.
국토부는 8일 현대자동차 코나 EV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확인돼 오는 16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고전압 배터리의 제조 불량으로 인한 내부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며 “제조 공정상 품질 불량으로 분리막이 손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리콜 대상 차량은 2만5564대다. 리콜 시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한 후 점검해 배터리 이상징후가 발견되는 즉시 배터리를 교체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고객 관점에서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리콜은 화재 원인이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뤄졌다. 국토부는 “다양한 원인 중 유력하게 추정한 화재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코나 EV에는 LG화학이 생산한 배터리 셀을 HL그린파워가 배터리팩 형태로 만들어 납품한다. HL그린파워는 현대차와 LG화학의 합작사다. 배터리팩에 배터리 운영시스템인 BMS를 합쳐 현대모비스가 최종 배터리 모듈 형태를 완성한다. 배터리 제작 공정에 양사 역할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LG화학은 자사 배터리 결함으로 단정 짓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LG화학은 “현대차와 공동으로 실시한 재연 실험에서도 화재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막 손상으로 인한 배터리셀 불량이 원인이라고 할 수 없다”며 “화재의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표한 것”이라며 사실상 국토부의 발표를 반박했다.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코나 EV 화재는 알려진 것만 총 12건이다. 생산 중 발생한 화재 2건을 제외하면 10건의 화재는 모두 주차된 차량에서 발생했다.
권민지 박구인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