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제2 조국” 아프리카서 온 삐뚤빼뚤 손편지

입력 2020-10-09 04:07
멜레세 테세마 에티오피아 6·25참전용사회장이 한글로 ‘칠곡군이 에티오피아 코로나19 극복에 도움을 줘 감사하다’고 쓴 손편지를 들어 보이고 있다. 경북 칠곡군 제공

한글날을 앞두고 해외 6·25참전용사가 한글로 작성한 손 편지 한 통이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멜레세 테세마(90) 에티오피아 6·25참전용사회장은 최근 경북 칠곡군에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와 유가족에게 마스크, 손소독제 등 방역물품을 지원한 데 대해 감사의 편지를 보냈다.

에티오피아는 암하라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쓰고 있다.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그가 한글로 편지를 작성한 것은 칠곡군을 비롯한 대한민국 국민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기 위해서였다.

수차례 한국 방문을 통해 고령의 어르신을 비롯한 일부 한국인이 영어 사용에 익숙지 못한 것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테세마 회장은 먼저 영문으로 감사 편지를 작성하고 현지에서 활동 중인 한국인 자원봉사자에게 한글로 번역해 줄 것을 요청했다. 자원봉사자로부터 한글로 번역된 글을 전달받은 테세마 회장은 마치 그림 그리 듯 한 자 한 자 정성껏 편지를 써 내려갔다.

그는 “대한민국은 또 하나의 조국입니다. 참전용사의 희생을 기억하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도움을 주신 백선기 칠곡군수님, 칠곡군민을 비롯해 대한민국 국민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올린다”며 편지를 작성했다.

테세마 회장이 작성한 편지는 일부 오탈자가 있었으나 일반인도 충분히 이해가 가능한 수준이다.

손 편지는 SNS를 통해 지난 8일 칠곡군에 전달됐다. 한글 편지를 작성한 소감에 대해 그는 “뜻은 모르지만 한글의 모양이 규칙적이고 체계적이라 따라 쓰기에 어렵지 않았다”며 “한국만큼 한글을 사랑하는 마음이 든다”고 밝혔다.

이에 백선기 군수는 “한글날을 앞두고 한글로 작성된 편지를 받게 돼 더욱 뜻깊게 생각한다. 삐뚤삐뚤한 글씨지만 한국을 사랑하는 마음과 진심이 담겨 있는 것 같다”며 “앞으로도 에티오피아를 비롯한 모든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는 일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화답했다.

칠곡군은 지난 4월 6·25전쟁에 참전한 에티오피아 용사 6037명의 헌신에 보답하고자 6037장의 마스크를 마련하는 ‘6037 캠페인’에 나섰다.

칠곡군에서 시작된 캠페인은 전국에 반향을 일으키면서 두 달여 만에 목표량의 5배인 3만장을 모아 지난 6월 주에티오피아 대사관에 전달했다. 군은 2차로 모은 마스크 1만4000여장도 대사관과 후원회를 통해 추가 전달할 계획이다.

칠곡=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