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불법 살균소독제’ 적발 15배 늘었다

입력 2020-10-07 04:04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마스크, 손 소독제 품절 안내문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 이후 불법 살균소독제를 유통·판매하다 적발된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옥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이 6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8월 불법 살균소독제 적발 건수는 지난해보다 15배 증가했다.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로 마스크, 살균소독제 등 개인 방역물품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코로나19가 처음 확산한 1월에는 일부 살균소독제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배 이상 팔렸다. 한 대형 인터넷 쇼핑몰의 경우 코로나19가 재확산한 8월 중순에 손소독제 매출이 전주보다 130% 증가했다. 늘어난 판매량만큼 불법 살균소독제 유통도 기승을 부렸다. 정부가 정한 표시 기준, 각종 확인·신고·승인 등 규정을 지키지 않아 행정조치를 받은 살균소독제 제품이 최근 5년간 86개에 달했다. 이 중 올해 적발된 제품이 75개(87%)였다. 지난해 적발된 불법 살균소독제(5개)보다 무려 15배 많았다.

안전기준 적합 확인 신고번호를 기재하지 않거나 법에서 제한하는 무독성 등 문구 표시를 어긴 경우가 다수였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