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자치구간 경계조정과 시·도 행정구역 통합을 병행 추진한다. 상생발전을 꾀하고 이익공유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 자구책이다.
광주시는 “지난 2018년 대상지역 일부 주민과 정치권 반대로 활동을 멈춘 ‘자치구간 경계조정 전담 기획단’을 다시 가동한다”고 6일 밝혔다. 경계조정이 기형적 선거구 정상화와 구도심 공동화 완화, 행정효율성·주민편익 증대, 무등산 관리 일원화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가 2년여 만에 자치구 경계조정 기획단을 재가동하는 것은 자치구 간 편차가 여전해 균형발전이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동구가 최근 인구 10만명을 회복했지만 북구 43만2700여명, 광산구 40만7000여명의 4분의1수준에 불과하다. 시는 시의회 의장단과 5개 구청장, 지역 국회의원, 지방의원 등과 논의한 결과 총론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시는 연말까지 마련되는 기획단의 조정방안에 따라 내년 중 주민 동의와 행정안전부 신청 절차를 거쳐 경계조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2년 전 운영했던 기획단은 의견수렴을 통해 대·중·소 등 조정 폭에 따른 3개 경계조정 방안을 제시했다. 북구 6개 동을 동구로 편입하고 광산구 일부를 북구로 넘겨주는 중폭 개편안이 유력한 대안이었다. 그러나 북구, 광산구 일부 주민과 기초의원 등의 반대에 밀려 슬그머니 논의가 중단됐다.
이와 함께 시는 지난달 10일 전남도에 제안한 이후 지역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시·도 통합 문제도 광주전남상생발전위를 통해 병행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광역단체 간 행정구역 통합이 시대적 요구라는 입장이다.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 등의 행정통합 추세와 인구 소멸 위기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시는 지난달 27일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광주·전남 행정통합 준비단’을 출범시켰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자치구 경계조정은 기존 연구용역 결과를 합리적으로 손질하고 시·도 행정구역 통합은 미래를 향한 희망을 지역민에게 안겨주는 방향에서 진정성을 갖고 도와 머리를 맞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