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국민의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영업 제한 등으로 경제적 손실이 확대되고 있고 학교 수업, 각종 모임, 종교활동, 문화·체육 활동 등 일상생활이 제약을 받고 있다. 국민들의 고통과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렇다고 방역의 고삐를 늦추자고 하기에는 상황이 엄중하다. 한 달 전 세 자릿수를 기록했던 신규 확진자가 최근 닷새째 두 자릿수로 줄어들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아슬아슬하다. 추석 연휴 대규모 인구이동에 따른 확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방역이 제대로 이뤄져야 일상을 회복할 수 있다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경제·사회적 손실은 불어나기 마련이다. 백신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나 나올 것이라고 한다. 거리두기 2단계를 유지하는 게 언제까지 가능할지 의문이다. 백신이 상용화될 때까지는 적정 수준의 방역 체계를 가동하면서도 일상의 불편과 손실을 최소화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평가해 더 실효성을 높이고,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일상적인 활동을 유지하면서 방역을 같이 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행정 편의주의에 빠져 관성적으로 과도한 방역을 강제하는 경우는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감염 위험도에 따라 방역 기준을 더 세분화하고 수칙을 철저히 지키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 비율이 높은 수준인데 역학 조사 인력도 늘릴 필요가 있다. 중증 환자가 어느 정도 늘어나더라도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의료 역량도 서둘러 보강해야 한다. 지속 가능한 방역을 위해서는 환자 수를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로 묶어둬야 한다. 시민들이 마스크 착용, 집회 및 다중 모임 자제, 이상 증상시 외출 자제 등 방역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는 건 더 말할 것도 없다.
[사설] 지속 가능한 방역체계 모색해야 할 때
입력 2020-10-06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