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에 대한 사이버 공격 시도가 문재인정부 들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태용 국민의힘 의원은 5일 통일부에서 제출받은 자료 분석 결과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부터 올해 8월까지 통일부를 상대로 총 2122건의 사이버 공격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는 박근혜정부 4년간 이뤄진 통일부 대상 사이버 공격 시도 건수 1029건보다 2배나 증가한 수치다. 2017년(7월 이후) 215건, 2018년 630건, 2019년 767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올해 8월까지만 510건에 달했다. 특히 4·27 판문점선언, 9·19 평양공동선언 등 남북 정상 간 대화가 활발했던 2018년에도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지속됐던 것으로 보인다.
유형별로 보면 탈북자 정보 탈취를 목표로 한 시스템 정보 수집이 1007건(47.4%)으로 급증했다. 해킹 메일 수신 852건(40.1%), 유해 IP 접속 유도 135건(6.3%)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탈북자 정보가 일반 해커에겐 별 소용이 없는 만큼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조 의원은 “대북 정책 주무 부처인 통일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북한 소행으로 추정된다”며 “통일부는 탈북민 정보와 대북정세분석 정보에 대한 보안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
통일부 사이버 공격 급증… “北 소행 가능성 커”
입력 2020-10-06 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