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이 그간 여권에서 ‘성역 없는 수사를 하라’고 채근했던 사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이른바 ‘검·언 유착’ 의혹을 향했던 서울중앙지검의 칼끝이 윤석열 검찰총장과 나경원 전 미래통합당 의원의 가족 의혹 등으로 방향을 튼 모양새다. 수사가 본격 재가동된 데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의 의지가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윤 총장 가족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박순배)는 25일 사업가 정대택씨를 고발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정씨는 과거 윤 총장 장모 최모씨와 법적 분쟁을 벌였고 무고죄로 기소됐다.
서울중앙지검 형사7부(부장검사 이병석)는 나 전 의원 자녀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이다. 형사7부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 공무원 및 스페셜올림픽코리아(SOK) 관계자를 불러 조사했다. 나 전 의원은 2011~2016년 SOK 회장을 맡았고, 딸 김모씨가 SOK 이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형사7부는 SOK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청구했지만 최근 기각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총장과 나 전 의원 가족 의혹 사건은 각각 지난 8일과 15일 형사1부에서 현 수사부서로 재배당됐다. 서울중앙지검은 지난달 27일 중간간부 인사를 통해 ‘이성윤 체제’를 굳혔다. 법조계에선 재배당 후 검찰이 수사에 속도를 내는 배경에 이 지검장의 의중이 담긴 것으로 해석한다.
일각에서는 ‘여권에서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 의혹의 국면 전환을 시도하고 있고 검찰이 이에 발맞추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0일 윤 총장 가족 사건과 관련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가족처럼 수사해야 한다’는 취지의 논평을 냈다. 추 장관은 지난 14일 국회에서 해당 사건들을 두고 “(윤 총장의) 수사 의지를 본 적이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해당 사건들은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검찰 관계자는 “형사1부에 검·언 유착 의혹 사건 등 현안이 많아 업무가 가중됐었다”며 “재배당도 수사 효율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