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 논단] 재난지원금과 한국교회의 할 일

입력 2020-09-22 20:03

오늘날 코로나19의 위기 속에서 한국교회는 교인들과 지역사회를 보호하고 지켜야 할 사명을 안고 있다. 하지만 교회의 상황과 사정을 보면 녹록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일부 교회들로 인해 코로나19 감염이 확산되면서 한국교회가 사회를 향해 공식 사과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지난달 17일 코로나19 재확산의 중심에 교회가 있음을 인정하고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사죄의 뜻을 표명한데 이어, 18일에는 한국교회총연합이 몇 교회가 교인들과 지역사회에 감염확산의 통로가 된데 대해 깊이 사과 드린다는 입장을 밝혔다. 19일에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국민들께 죄송합니다. 저는 기독교인입니다’라는 글이 게시됐으며 개인적으로도 자신의 SNS 등을 통해 미안하다는 내용의 사과를 이어갔다.

이처럼 8월은 기독교에 사회적인 지탄으로 인해 자성을 높이는 달이 되었다.

9월 정부는 재난지원금을 ‘선별지급’한다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하지만 어디에도 교회에 대한 지원은 존재하지 않았다. 소상공인, 특수고용노동자, 프리랜서 등 지급방침이 정해졌지만 교회는 배재되었다. 임대료를 지급하며 대부분의 교회가 정부의 방침에 적극 협조해 미자립교회도 비대면 예배를 드렸지만 정부는 교회에 대한 지원을 생각지도 않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작은 교회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교회에서 예배가 진행되지 않으면서 모든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작은 교회는 교역자 사례비는 고사하고 월세 조차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다. 이미 임대료를 줄이기 위해 예배 공간을 축소하고 그것도 어려울 경우에는 교회 문을 닫아야 할 형편에 놓였다. 더욱 안타까운 일은 코로나19 사태가 끝이 보이지 않아 어디에서부터 실마리를 찾아야 할 지 모든 것이 막막할 뿐이다.

데이터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전국의 교회 절반이 50명 이하의 교인수를 보유하고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절반이 넘는 교회들이 코로나19로 인한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결국 허리띠를 졸라 매는 범위를 넘어 교회 문을 닫아야 할 상황이다.

교회가 당한 역차별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몇 년전 속초의 산불로 인한 지원에 교회가 크게 도움을 받지 못한 하소연이 들리기도 한다. 이번 태풍과 폭우로 물에 잠긴 지하실 교회들은 정부에서 어떻게 도움을 주고 있는지 도무지 알 수 없다. 기독교가 복지와 구호의 사각지대에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작은 교회들이 교회의 방역은 물론 주변 상가, 어린이집, 골목 등을 방역하며 지역사회에서 코로나19 사태의 극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이며 신뢰를 회복하는데 지데한 공을 세우고 있다.

대형교회는 대형교회대로 역할이 있겠지만 일부 미자립교회의 움직임은 한국교회의 모범과 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작은 교회를 위한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어 한가닥 빛을 보고 있다. 중대형교회를 중심으로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는 작은 교회를 돕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월세 지원과 작은 교회 긴급 지원금 전달 등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척교회 및 미자립교회를 대상으로 사랑 나눔을 실천하자는 움직임이다. 아직은 미흡하지만 교단과 교회들 간에 공감대가 형성돼 가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들이 담겨진 작은 교회 지원 정책이 교단을 넘어 정부 차원에서 세워지기를 간곡히 바라는 바이다.

이를 위해선 우선 추락한 교회의 신뢰도를 회복하는 일이 시급하다. 물론 단기간에 회복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그럼에도 철저한 방역과 실천을 겸비하며 대사회적인 신뢰 회복을 위한 교회의 노력을 중단해서는 안된다.

한국교회와 지역사회가 철저한 방역을 위한 정부방침에 적극 협조한다면 코로나19를 극복하는 것은 무리가 아닐 것이다. 이후 정부는 한국교회의 움직임에 답변을 해야 할 것이다.

신연욱 기독언론진흥재단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