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불확실성에 당분간 인플레 가능성 낮다”

입력 2020-09-21 04:06

당분간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 발생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이 나왔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데다 좀처럼 기세가 꺾이지 않는 신종 코로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불확실성 탓이다. 이런 상황은 내수 회복까지 늦출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향후 경제정책의 초점을 경기 회복과 고용 확대에 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일 ‘향후 소비자물가 위험요인 점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백신 개발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상당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은 수준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주요 선진국과 신흥시장국의 2분기 성장률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면서 “내년에는 기저효과로 성장률이 상승하더라도 전반적인 경제활동 수준은 지난해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물가 상승을 제약하는 요인으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확장적 통화정책 지속 의지 표명에 따른 미국 달러화 약세 전망과 여전히 낮은 소비자 심리, 기대 인플레이션 등이 꼽혔다. 여기에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조기 백신 개발의 불확실성이 짙어지고, 이에 다른 소비 활동 위축과 대면 서비스 업종의 부진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곧 경제심리까지 얼어붙게 만들면서 결국 ‘V자형’ 경기 반등이 아닌 ‘L자형’ 경기 부진 장기화로 흘러갈 수 있다.

장 위원은 “메르스 사태 당시와 달리 코로나19의 2차 확산이 현실화되면서 교통, 오락 및 문화, 숙박 및 음식점 등 대면 서비스 업종 중심으로 내수 회복이 상당 기간 늦어질 수 있다”면서 “세계적으로는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국제교역 위축 등 대외 요인도 경제회복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거시경제정책을 경기 회복과 고용 증대에 중점을 두고 적극적으로 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