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9월 21일)을 앞두고 알츠하이머 연구자를 소개하는 영상을 자사 뉴스룸에 20일 공개했다.
정원석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박성홍 KAIST 바이오·뇌공학과 교수는 ‘새로운 뇌 영상화 기법(Modality)-Neuronal Resonance MRI’를, 정호성 연세대 의대 교수는 ‘퇴화 저항성 축삭의 RNA오페론’을 연구 중이다.
이 연구가 성공하면 알츠하이머·파킨슨·루게릭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에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혜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살아 있는 뇌 안의 기억흔적 영상 기술’을 연구 중이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 진단·치료 관련 다양한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국내 65세 고령자 가운데 10%가 치매를 앓고 있고 그 원인의 74.9%가 알츠하이머로 알려져 있다. 2018년 사망 원인 중 알츠하이머가 9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10위권 내 진입했다. 하지만 알츠하이머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치료법도 없는 상황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삼성, 알츠하이머 진단·치료 연구 지원
입력 2020-09-21 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