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신임 총리에게 취임 축하 서한을 보내고 “재임기간 중 한·일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자”는 뜻을 전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기본적 가치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할 뿐 아니라 지리적 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친구인 일본 정부와 언제든지 마주 앉아 대화하고 소통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일본 측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스가 신임 총리 및 새 내각과도 적극 협력해 과거사 문제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경제·문화·인적교류 등 제 분야에서 미래지향적이고 호혜적으로 실질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건강 문제로 사임한 아베 신조 전 총리에게도 서한을 보냈다. 강 대변인은 “그간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한 아베 전 총리의 노력을 평가하고, 조속한 쾌유와 건강을 기원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아베 전 총리와 아키에 여사도 문 대통령 내외에게 재임 기간 중 소회를 담은 이임 서한을 각각 보내왔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스가 총리의 첫 정상회담은 예정대로라면 올해 말 국내에서 예정된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성사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코로나19가 변수여서 두 정상 간 회담이 더 미뤄질 수도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이제 막 출범한 내각”이라며 말을 아꼈다.
한·일 관계는 아베 전 총리 재임 이후 최악의 상황에 놓여 있다. 2018년 대법원의 일본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판결 이후 일본의 수출규제 보복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조건부 연장 등 한·일 관계는 출구를 찾지 못하는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중국 청두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당시 아베 전 총리와 회담하면서 “일본이 취한 수출규제 관련 조치가 (2019년) 7월 1일 이전 수준으로 조속히 회복돼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한·일 관계는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
▶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