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유행 충분히 통제… 전 국민 접종 불필요”

입력 2020-09-16 04:08
지난해 10월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주민과 노숙인들이 무료 독감 예방 주사를 맞고 있는 모습. 윤성호 기자

올가을과 겨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 함께 유행할 가능성이 있는 독감 예방접종 범위를 놓고 방역 당국이 “전 국민이 예방접종을 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15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독감 예방접종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방역 또는 역학적 논리상 전체 국민에 대한 접종 필요성이 낮고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독감은 코로나19와 달리 ‘타미플루’라는 치료제가 있는 데다 그동안의 독감 전파 양상을 보면 인구의 절반가량만 백신을 접종해도 유행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권 부본부장은 “독감은 코로나19와 달리 타미플루와 같은 항바이러스제라는 치료제가 있다. 고위험군이 아닌 경우에는 사실상 초기 의심 증상이 있을 때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해 유행을 억제할 수 있고 개별적 치료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타미플루 등 항바이러스제 1100만명분 이상을 비축하고 있고 이 물량으로도 충분히 독감 유행을 통제할 수 있다. 권 부본부장은 “독감은 기초재생산지수라는 개념에 따라 대개 인구의 50% 이상의 접종을 가지고 유행을 컨트롤한다”며 “우리나라는 금년 절기에 전체 인구의 약 57%에 해당하는 물량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본은 50%, 이미 유행이 지나간 호주나 뉴질랜드는 각각 30%, 40%대에 불과하다.

방역 당국은 당장 10∼11월에 접종해야 하는 독감 백신을 전 국민 접종 분량만큼 확보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다고 설명했다. 권 부본부장은 “백신은 단기간에 추가 생산하지는 못한다”며 “5∼6개월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금 확보했거나 확보 중인 백신도 지난 3월부터 이미 생산을 시작해 공급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