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의 창업주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대량해고와 경영부실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날로 거세지고 있다. ‘이상직 책임론’이 정치권으로까지 확대되면서 이스타항공 재매각이 순항할 수 있을지 업계 관심을 끈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15일 서울과 강원, 부산, 대전 등 전국 더불어민주당 시·도 당사 앞에서 정리해고 사태에 항의하는 ‘동시다발 1일 행동’을 진행했다. 박이삼 노조위원장은 서울 종로구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무실 앞에서 “정부와 여당은 탈세, 대량해고를 저지른 이 의원을 감싸고 직원을 외면했다”며 “이 의원은 ‘회사 경영에서 손 뗀 지 오래’라는 거짓말을 멈추고 본인이 실소유주라는 걸 인정하라. 사재를 출연해 해고를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스타항공이 직원 605명을 해고한 지난 7일 이후 이 의원을 공격하는 시위 및 폭로를 연일 이어가고 있다. 전날엔 이스타항공 고위 관계자 김모씨가 7월 노조와의 대화에서 ‘이스타항공은 이 의원의 것’이라고 말하는 녹음 파일을 공개했다. 녹음 파일에서 김씨는 “이 의원이 (자금 문제를) 풀려고 돌아다녀야 하는데 (정부 관계자들이) 부담스럽다고 만남을 피한다”며 “(노조만) 조용히 하면 국민은 이스타항공이 지원을 받았는지, 이 의원의 회사인지 모른다. 조용히 (지원금을) 받았어야 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씨는 “제주항공과의 딜이 깨지기 전 창업주가 정부 지원을 요청하는 건 당연한 일”이라며 “이를 설명하다가 나온 말”이라고 말했다.
‘이상직 책임론’은 그간 침묵해온 여당을 비롯한 정치권으로까지 번졌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이날 당 의원총회에서 “이 의원이 계속 책임을 회피한다면 국정감사 증인으로 요청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 이 대표도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은 이스타항공 문제를 파악하고 있다. 이(상직) 의원은 국민과 직원들이 납득할 만한 조처를 해 달라”고 했다.
업계는 이스타항공이 구조조정 후폭풍 속에서도 재매각될 수 있을지 우려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매각 주간사는 조만간 인수 의사를 보인 물류·여행업 기업 및 사모펀드 8곳을 대상으로 투자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안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