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 번진 ‘이상직 책임론’… 이스타항공 재매각 순항할까

입력 2020-09-16 04:03
변희영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이 15일 서울 종로구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역구 사무소 앞에서 열린 이스타항공 대량 정리해고 사태 해결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스타항공의 창업주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대량해고와 경영부실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날로 거세지고 있다. ‘이상직 책임론’이 정치권으로까지 확대되면서 이스타항공 재매각이 순항할 수 있을지 업계 관심을 끈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15일 서울과 강원, 부산, 대전 등 전국 더불어민주당 시·도 당사 앞에서 정리해고 사태에 항의하는 ‘동시다발 1일 행동’을 진행했다. 박이삼 노조위원장은 서울 종로구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무실 앞에서 “정부와 여당은 탈세, 대량해고를 저지른 이 의원을 감싸고 직원을 외면했다”며 “이 의원은 ‘회사 경영에서 손 뗀 지 오래’라는 거짓말을 멈추고 본인이 실소유주라는 걸 인정하라. 사재를 출연해 해고를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스타항공이 직원 605명을 해고한 지난 7일 이후 이 의원을 공격하는 시위 및 폭로를 연일 이어가고 있다. 전날엔 이스타항공 고위 관계자 김모씨가 7월 노조와의 대화에서 ‘이스타항공은 이 의원의 것’이라고 말하는 녹음 파일을 공개했다. 녹음 파일에서 김씨는 “이 의원이 (자금 문제를) 풀려고 돌아다녀야 하는데 (정부 관계자들이) 부담스럽다고 만남을 피한다”며 “(노조만) 조용히 하면 국민은 이스타항공이 지원을 받았는지, 이 의원의 회사인지 모른다. 조용히 (지원금을) 받았어야 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씨는 “제주항공과의 딜이 깨지기 전 창업주가 정부 지원을 요청하는 건 당연한 일”이라며 “이를 설명하다가 나온 말”이라고 말했다.

‘이상직 책임론’은 그간 침묵해온 여당을 비롯한 정치권으로까지 번졌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이날 당 의원총회에서 “이 의원이 계속 책임을 회피한다면 국정감사 증인으로 요청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 이 대표도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은 이스타항공 문제를 파악하고 있다. 이(상직) 의원은 국민과 직원들이 납득할 만한 조처를 해 달라”고 했다.

업계는 이스타항공이 구조조정 후폭풍 속에서도 재매각될 수 있을지 우려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매각 주간사는 조만간 인수 의사를 보인 물류·여행업 기업 및 사모펀드 8곳을 대상으로 투자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안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