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4년차를 맞은 더불어민주당이 윤미향(사진) 의원에 대한 검찰 기소로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국민적 역린인 교육, 병역 문제에서 불공정 논란이 벌어진 데 이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운동을 주도해온 윤 의원의 도덕성까지 타격을 받게 됐다. 일각에선 정국 운영에 중대한 고비를 맞게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 의원들은 14일 국회 본회의 도중 윤 의원 기소 사실이 전해지자 술렁였다. 한 의원은 “검찰이 이렇게 갑작스럽게 기소할지 몰랐다”며 “검찰의 기소 내용이 예상보다 무거워 내용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검찰 기소 직후 이낙연 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 박광온 사무총장 등이 정례 고위전략회의를 열었지만 윤 의원 건은 언급되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이날 저녁 당 지도부는 부정부패 혐의로 기소된 의원에 대한 윤리심판원 조사 등 여러 대응책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윤 의원은 당시 공직자가 아니라 경제사범으로 분류돼 윤리심판원 조사 요청이 불가능하다”며 “최종심까지 지켜보는 것 외에 당에서 당장 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윤 의원이 먼저 당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며 당원권 행사 중지를 요청함에 따라 당 지도부도 곧 최고위원회의를 거쳐 이를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그동안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나 조국 전 장관과 마찬가지로 윤 의원 의혹도 적극 반박해 왔다. 이해찬 당시 당대표는 지난 5월 “(의혹 제기가) 사실에 기반해야지, 신상털기식 의혹 제기에 굴복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우상호 의원은 “윤 의원이 이용수 할머니의 정치 입문을 막자 할머니가 분노한 것”이라고 두둔했다가 역풍을 맞기도 했다.
가뜩이나 추 장관 아들 의혹으로 비판 여론이 비등한 상황에서 윤 의원이 검찰에서 기소되며 부담은 한결 커진 상황이다. 특히 위안부 문제는 민족사적 문제이자 2015년 한·일 위안부합의를 비판했던 문재인정부의 정통성과도 연계된 문제여서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문재인정부 핵심 지지층인 시민사회계에 대한 의혹의 시선이 확대되는 것도 부담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민주당이 윤 의원을 감싸 왔는데 관련 의혹이 사실로 드러나며 문재인정부의 공정성, 진보적 가치가 훼손됐다”며 “내년 4월 재보선, 곧이어 대선이어서 윤 의원에 대한 여론이 어떻게 폭발할지 유심히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취임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이낙연 대표도 무거운 짐을 짊어지게 됐다. 조 전 장관의 1심 재판, 추 장관에 대한 검찰 수사, 윤 의원 기소까지 국민적 감정을 자극하는 사안을 모두 수습해야 한다. 하필 추 장관 아들 특혜 의혹을 정치 공세로 규정하고 “우리는 사실로 대응하고 차단할 것”이라고 첫 입장을 낸 직후 검찰 기소 소식이 날아든 것도 이 대표를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재산신고 누락 의혹을 받는 김홍걸 의원, 이스타항공 대량 정리해고 사태로 지탄받고 있는 이상직 의원 문제도 골칫거리다. 이 대표는 이 의원에게 “국민과 회사 직원이 납득할 만한 조치를 취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 의원을 겨냥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여야 의원들의 재산 변동을 철저히 조사해 응분의 조치를 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강준구 이가현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