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파벌’ 스가 요시히데(71) 관방장관이 일본 총리가 되는 집권 자유민주당 총재로 선출되면서 일본의 고질로 꼽혀온 ‘파벌정치’에도 변화가 생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총재 선거에서 스가 장관은 당내 7개 파벌 중 5개 파벌의 지지를 받아 초반부터 승기를 잡았다. 파벌을 이용해 권력을 손에 넣은 만큼 파벌정치에 속박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당장 15일로 예정된 자민당 간부 인사, 그리고 총리 취임 후 16일 출범시킬 새 내각 인사에 스가 장관을 지지한 파벌의 의중이 어떻게 반영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스가 장관에게 표를 몰아 당선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5개 파벌 지지세력 가운데 당 지도부 및 조각 과정에서 인사 불만을 품는 세력이 나오면 출발 시점부터 정권이 삐걱거릴 수 있다. 스가 장관이 결국은 파벌 간 안배를 고려한 인사를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나 스가 장관이 선거에서 국회의원 표뿐만 아니라 지방 당원들의 표심도 대거 얻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이를 바탕으로 파벌들의 요구를 거부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스가 장관은 47개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 지부연합회(지구당) 대표 141명이 행사하는 지방 표에서 63.1%(89표)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다.
아사히신문은 “대부분의 도도부현이 결과를 공표하고 있지 않지만 스가 장관이 전국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며 “지방 표심이 스가 장관의 정권 운영 스타일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일본 언론들은 이번 선거에서 지방 당원 표는 141표에 불과하지만 일반 국민들의 목소리가 반영되기 때문에 여론의 인기를 가늠하는 잣대로 주목해왔다.
일본 정치권에서는 스가 내각 발족 후 국회(중의원) 해산을 통한 조기 총선 체제로 갈 것인지도 관심사다. 마이니치신문이 지난 8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현 내각 지지율은 50%를 기록해 아베 총리 사임 발표 전인 지난달 22일 조사와 비교해 16% 포인트 급등했다. 스가 장관 입장에선 지금이 총선에서 어렵지 않게 압승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 언론들은 내년 1월 정기국회 개원과 내년 3월 새 예산안 처리, 7~9월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개최 등 내년 10월까지의 주요 정치 일정과 국가적 행사를 고려할 때 다음달 25일이나 11월 1일, 22일 등에 조기 총선이 실시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
▶
▶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