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2.5단계 연장·완화 ‘딜레마’…‘제3의 방법’도 거론

입력 2020-09-12 04:01

정부가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조치의 연장 또는 완화 여부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신규 확진자가 충분히 줄지 않는 상황에서 국민의 피로도가 한계에 다가서고 있기 때문이다. 2.5단계 적용 기한인 13일까지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 정부는 2.5단계 조치에 부분적 변화를 주는 ‘제3의 방법’도 검토하고 있다.

11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76명이었다. 지난 6일 119명까지 떨어진 뒤로 다시 늘어나고 있다. 국내 발생 161명, 해외 유입 15명, 전체 확진자는 2만1919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고령층 확진자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최근 사흘간 발생한 확진자의 40% 이상이 60대 이상이었고, 위중·중증환자 175명 중 60세 이상은 153명이나 됐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하루 이틀 더 추이를 관찰키로 했다. 중위험시설 방역조치를 일부 완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중위험시설은 카페·음식점·예식장·실내체육시설 등이, 고위험시설은 노래방·PC방·유흥주점 등이 속한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강화된 2단계(2.5단계)에선 중위험시설도 상당히 강한 조치를 적용받는다. 방역 효과를 최대화하면서도 불편을 줄이는 방안을 함께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국민을 생각하면 제한을 풀어야겠지만 성급한 완화가 재확산으로 이어져 국민이 더 큰 고통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 결정과 별개로 국민들이 일상을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거리두기만으론 답이 없는 상황이다. 일상에서 접촉 최소화를 어떻게 구현할지 근본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도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했다. 서울 도봉구 건설현장에선 7명의 확진자가 확인됐고,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선 전날보다 확진자가 9명 늘었다. 충남 금산 섬김요양원에서도 7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최근 고령층 환자 증가에는 종교시설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 달간 60세 이상 확진자의 감염경로 중 종교시설은 27.5%를 차지했다. 이에 서울시는 일요일인 13일에 교회 성당 사찰 이슬람사원 등 모든 종교시설의 방역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