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차 추경안 신속 처리 합의… 협치·통신비 인하 놓고 신경전도

입력 2020-09-11 04:09
박병석(가운데) 국회의장과 이낙연(왼쪽)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국회 사랑재에서 오찬 회동을 하기 전 기념촬영하고 있다. 박 의장과 이 대표, 김 위원장은 4차 추가경정예산을 최대한 시급히 처리하는 데 합의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와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첫 여야 대표 회동에서 미묘한 신경전을 주고받았다. 4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신속 처리, 추석 전 2차 재난지원금 지급에는 합의했지만 ‘여야 협치’의 조건을 놓고 뼈 있는 말이 오갔다.

이 대표와 김 위원장은 10일 박병석 국회의장 주재로 국회 사랑재에서 오찬 회동을 했다. 박 의장 취임 100일을 맞아 마련된 자리였다. 이 대표가 취임 직후인 지난 1일 김 위원장을 찾아가 인사를 나누긴 했지만 공식 회동은 처음이다. 박 의장과 여야 대표는 비말차단용 가림판을 사이에 놓고 1m 넘게 떨어져 앉아 마스크를 쓴 채 대화를 주고받았다.

박 의장이 먼저 “만남을 통해 국민통합 협치의 큰 틀을 만들어주실 것을 기대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 대표는 김 위원장을 향해 “오늘 7조80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고, 내일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라며 “추석 전까지 2차 재난지원금이 집행되려면 오는 18일까지 추경안이 처리돼야 한다. 도와주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에 대해 “(추경안) 내용에 합리성이 결여되지 않는 한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화답했다.

‘여야 협치’가 논의 테이블에 오르자 분위기는 달라졌다. 김 위원장이 “힘을 가진 분들이 협치할 수 있는 여건을 사전에 만들어줘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21대 국회 원 구성 과정을 거론하며 “관행이 지켜지지 않았기 때문에 여야 사이에 황당한 균열이 생겨났고 아직도 봉합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통신비 2만원 인하’ 정책을 두고는 “국민은 한번 정부의 돈에 맛을 들이면 거기서 떨어져나가려고 하지 않는다”고 날을 세우기도 했다.

최인호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비공개 회동 이후 “이 대표는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 ‘과거 2~3개월간의 우여곡절을 반복할 수는 없다’는 취지로 김 위원장에게 답했다”고 말했다. 회동에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와 및 특별감찰관 추천 관련 논의는 다뤄지지 않았다.

한편 김 위원장은 박 의장과 이 대표에게 “국회 구성원만이라도 코로나19 전수조사를 실시하자”고 제안했다고 한다. 김은혜 국민의힘 대변인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정치적으로 이용된다는 의구심이 (세간에) 있다. 정치적 유불리에 활용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게 김 위원장의 의지”라고 했다.

양민철 이상헌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