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 집단행동 지속 여부 논의

입력 2020-09-11 04:02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병원 본관 앞에서 서울대 의대 3학년생이 의료계 현안 및 전공의 파업 지지 등의 내용이 담긴 성명문을 옆에 두고 릴레이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 의료정책에 반대하며 의사 국가시험 거부, 동맹휴학 중인 의대생들이 집단행동 지속 여부를 두고 저울질에 들어갔다. 다만 내부 논의 끝에 집단행동을 중단하더라도 국시에 응시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의회(의대협)는 집단행동 지속 여부에 관해 10일 내부 논의를 진행했다. 전국 40개 의대 대표자들이 각 학교의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의대생 내부에서는 국시 거부 등 집단행동을 지속하자는 의견이 우세했다. 의대협이 지난 7일 전국 의대생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1만5860명 중 81.22%가 단체행동 유지에 찬성했다. 의대협은 설문조사에 기반해 집단행동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같은 날 밝힌 바 있다.

의대 교수들은 정부 등이 의료정책 추진과 관련 발언 등으로 이들을 자극했다며 ‘정부 책임론’을 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성명서를 통해 “국시가 제대로 시행되지 못해 발생할 장단기적 문제들의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이미 국시 응시를 거부한 의대생들을 위한 추가 시험이 시행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정부는 의대생들이 스스로 시험 응시를 거부한 만큼 추가적인 기회를 부여하는 건 공정성에 맞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여론도 부정적이다. 국시 거부 의대생에게 재접수 등의 기회를 주지 말아 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이날 오후 현재 50만명 이상이 동의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이미 시험과 접수일자를 연기·조정했다”며 “형평성과 공정성 논란이 있기 때문에 국민적 양해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선을 그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