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당시 재산 11억원 신고를 누락한 조수진(사진) 국민의힘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재산신고 내역에도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민주당 의원 11명의 실명과 함께 전세권 누락, 부동산·본인명의 예금·비상장주식 미신고 등이 있다고 역공을 펼쳤다.
국민일보가 9일 지난 3월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재산신고 내역과 지난달 28일 공개된 국회의원 재산 내역을 비교한 결과, 실제 해당 의원들의 재산 변동이 있었다. 다만 등록 기준에 따른 부모 명의 재산 단순 추가나 기존 부동산·주식 가격의 시세 변동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가장 많은 사례는 부모 재산이 추가된 것이었다. 이광재 의원은 10억600만원에서 22억6000만원으로 재산이 늘었다. 부모 명의 아파트·전·답(충북 충주)과 자동차(쏘렌토)·예금 등 9억5000만원 상당이 추가됐다. 원주에 1000만원 전세(임차)권도 새로 신고했는데 이 의원 측은 “원주 노모 댁에서 기거하기 어려워 기업 도시 쪽에 집을 얻었다”고 말했다.
허영 의원은 부모 명의 대지(강원 양구)와 아파트(강원 춘천), 예금·보험 등 5억3400여만원이 늘었다. 이수진(비례) 의원도 모친의 건물·예금(총 6억원)을 추가했다.
윤미향 의원은 부친 명의 아파트(2억3200만원) 등을 제외해 재산이 8억3590만원에서 6억4654만원으로 줄었다. 조 의원은 “실제 본인 재산이기에 신고했다가 당선 후 빼야 할 문제가 생긴 거 아닐까”라고 했지만, 윤 의원은 “공직자윤리법상 ‘부모와 독립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 재산 신고에서 제외할 수 있다’는 규정을 따랐다”고 반박했다. 김회재 최기상 의원은 지역구 소재 아파트·사무실을 새로 임차해 재산 변동이 생긴 경우다.
시세 변화에 따른 가격 변동도 많았다. 양정숙·김진애 의원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 부동산 시세 상승분으로 각각 11억7000만원, 2억7000만원을 반영했다. 양 의원은 예금·보험이 34억원에서 42억원으로 늘었다. 서울변호사신용협동조합금이 14억3000만원에서 24억원으로 오른 영향이 컸다. 양 의원 측은 “서울 서초동 아파트를 팔고 난 금액 일부로 채무를 정리하고, 협동조합에 돈을 넣었다”고 설명했다.
비상장주식 미신고 사례는 문진석 이상직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은 각각 재산이 37억원, 172억원 증가했다. 문 의원은 자신이 대표로 있던 세창이엔텍 비상장주식의 가액 기준을 액면가(3억원)에서 평가액(43억원)으로 수정하며 재산이 급등했다. 이 의원도 장남과 장녀가 보유한 이스타홀딩스 비상장주식 가액을 같은 방식으로 3억원에서 168억원으로 조정한 것이다.
단 김홍걸 의원은 배우자가 2016년 구입해 올 2월에 판 서울 고덕동 아파트 분양권 대금 10억여원을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 측은 “분양권이 신고 대상인지 몰랐다”고 해명했다.
양민철 이가현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