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카카오의 뉴스 편집에 불만을 제기하면서 포털의 기사 배치 방식에 대한 궁금증이 더해지고 있다. 포털업계는 “인공지능(AI)이 뉴스 배치를 전담하고 있어 인위적 개입이 불가능하다”고 해명하지만, 여전히 일각에선 AI 시스템의 투명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수년 전부터 뉴스 서비스에 AI를 도입해온 국내 양대 포털은 기사 배치 알고리즘에 인간이 의도적으로 개입할 여지가 없다고 못 박는다. 다음의 운영사인 카카오 측은 9일 “AI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뉴스 편집 및 추천을 해오고 있어 사람이 개입할 수 없는 구조”라고 반박했다. 카카오는 2015년 6월 ‘루빅스’라는 시스템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개별 독자가 평소 관심을 보인 분야의 기사, 동일 성별·연령대가 많이 보는 기사 등을 AI가 분석해 기사를 선별하고 자동 배치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AI가 대신할 수 없는 영역도 남아 있다는 게 카카오의 설명이다. 카카오는 블로그를 통해 “전 국민이 그 시각에 꼭 알아야 할 대형사고·재난재해, 스포츠 중계 등 ‘실시간성’이 중요한 뉴스는 전체 이용자에게 우선 배치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태풍, 코로나19 등 안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기사 외엔 전부 AI 시스템에 따라 배치한다는 주장이다.
네이버 역시 “언론사가 직접 편집한 영역을 제외한 메인과 뉴스 홈, 섹션별 뉴스는 모두 기계적 알고리즘을 적용해 배열 중”이라고 강조한다. 네이버는 2017년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에어스(AiRS)’를 도입한 뒤, 지난해 4월 모든 뉴스를 인공지능이 추천하는 시스템으로 전환을 마쳤다. 뉴스의 제목·내용·이미지 등 기사 자체 평가 항목과 더불어 조회 수, 독자의 뉴스페이지 체류 시간 등 이용자 소비 활동에 기반해 뉴스 가치를 산정한다.
하지만 포털의 AI 뉴스 서비스에 전문가들의 부정적 인식도 여전하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도 사람의 영역인 만큼 누가 어떤 기준으로 AI 시스템을 만드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포털사이트 다음 창업자인 이재웅 전 쏘카 대표는 지난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AI의 뉴스 편집도 가치중립적이지 않다”며 “AI에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의 생각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AI의 중립성을 판단할 검증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경재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기술이 중립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하더라도 수년간 진화해 온 AI 기술에 대한 재검증 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정치권에서 포털의 뉴스 서비스에 개입하려는 시도가 여전하다고 입을 모은다. 여야를 가리지 않고 뉴스에 민감한 일부 정치인이 입맛에 맞지 않는 기사가 장시간 배치될 경우 대관 업무 담당자들을 불러 꾸짖는 경우가 다반사라는 성토다. 한 IT업계 국회 대관 업무 관계자는 “분명 압박과 부담으로 작용하지만, 그렇다고 요구에 따라 뉴스 배치 등이 바뀐다면 향후 기업에 더 큰 악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