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윤영찬 의원의 ‘카카오뉴스 편집 압박 문자’에 대해 “엄중하게 주의를 드린다”고 경고했다.
이 대표는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어제 우리 당 소속 의원이 국회 회의 중 한 포털 매체 관련 부적절한 문자를 보낸 것이 포착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해당 의원에게 알아보니 우리 당 (교섭단체) 대표연설과 야당 대표연설을 (카카오가) 불공정하게 다뤘다는 문제의식을 가졌다고 한다”며 “그럼에도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그 의원 뿐 아니라 몇몇 의원이 국민에게 걱정을 드리는 언동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오해를 사거나 걱정을 드리는 언동을 하지 않도록 새삼 조심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야당은 윤 의원의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며 이틀째 고강도 비판을 이어갔다.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은 비상대책위 중진의원 회의에서 “보도지침 시대, 언론통제 시대도 아닌데 국회의원이 대놓고 ‘국회에 들어오라, 말라’ 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서슬퍼런 갑질”이라고 비판했다.
김기현 의원도 “윤 의원이 국회 과방위(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와 강요죄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과방위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윤 의원의 과방위 사임과 의원직 사퇴, 문재인정부 여론조작 행위에 대한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파장이 확산되자 윤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송구합니다. 저의 잘못”이라며 “비록 보좌진과의 대화라 해도 엄밀한 자세와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이어 “커다란 교훈으로 삼아 한마디 말과 한 걸음 행동의 무게를 새기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