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대화로 급선회… 의협 “오늘 범투위 열어 논의”

입력 2020-09-03 04:03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반대하는 의료계의 집단휴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본관 앞에서 한 전공의(오른쪽 두 번째)와 윤홍식(첫 번째)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장이 나란히 서서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료계가 회의를 열어 정부와의 최종 협상안 마련에 나설 전망이다. 전공의 단체 역시 정부·국회의 최근 움직임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상황에서 평행선을 달려온 의·정 갈등 사태가 극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흘러나온다.

대한의사협회는 2일 “내일 오후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범투위)를 열 예정”이라고 밝혔다. 범투위에는 무기한 파업 중인 전공의·전임의뿐 아니라 개원의, 의대생 등이 모두 참여한다. 비공개로 진행되는 해당 회의에선 의료계의 대정부 협상안이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출구가 보이지 않던 의·정 갈등은 전날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과 의료계 관계자들이 만난 뒤 급격히 새 국면을 맞았다. 한 의장은 의료계에 ‘원점 재검토’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겠다는 의지를 비쳤다고 만남 직후 밝힌 바 있다. 서연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부회장은 이날 “저희도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싶기 때문에 어떤 부분을 더 조율할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전공의 상대 고발 취하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서 부회장은 “나머지 6명에 대한 고발도 철회돼야 하겠으나 내부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며 “의료계와의 대화 의지로 이해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전날 업무개시 명령 미이행으로 고발했던 전공의·전임의 10명 중 4명의 고발을 철회했다.

달라진 분위기는 대전협 공식 입장문에도 드러났다. 전날 밤 늦게 대전협 홈페이지에 올라온 입장문에는 ‘진정성’ ‘대화’ 등의 표현이 반복적으로 등장했다. ‘원점 재논의’ 명문화가 선행돼야 현장에 복귀하겠다는 뜻을 다시 밝히면서도 정부에 대한 직접적 비판은 피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달 31일 의료계 원로들을 만난 데 이어 이날 오후에는 세종시 총리공관에서 전국 시·도 의사회 회장단과 비공개 만찬을 진행했다.

환자단체들도 거듭 의·정 갈등 해결을 촉구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암환자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중중 암환자들은 치료 시기가 무엇보다 중요하건만 의료현장에서 후순위로 밀려나고 있다”며 “누가 의료인에게 암환자의 생명과 치료권을 마음대로 포기할 권리를 줬느냐”고 반문했다. 이들은 또 “정부도 사태를 이 지경까지 끌고 온 책임을 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조금 일찍 타협안을 제시하거나 협상의 자세를 바꿨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정부와 의료인은 환자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환자 중심의 정책을 펴라”고 강조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