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조 투입, 90만개 고용 창출… ‘데이터 댐’ 사업 본격 막 올라

입력 2020-09-03 04:09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 2일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 과기정통부 기자실에서 데이터 댐 프로젝트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디지털 뉴딜의 대표과제인 ‘데이터 댐’ 사업이 첫발을 내디뎠다. 올해 세부과제를 수행할 기업 선정을 마무리한 정부는 사업 과정에서 당초 예상보다 많은 일자리가 생기고 인공지능(AI) 활용도 산업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등 데이터 댐 7대 핵심사업을 수행할 주요 기업 등의 선정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각 분야 공공기관 등 2103개 수행기관이 데이터 댐 사업의 첫해 지원 대상으로 확정됐다.

디지털 뉴딜은 정부가 2025년까지 AI·클라우드 등 정보통신(IT) 사업에 58조2000억원을 투입해 총 90만3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발표한 정책이다. 데이터 댐은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이를 가공·활용하는 사업이다.

7대 사업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AI 바우처, AI 데이터 가공바우처 사업, AI 융합 프로젝트(AI+X),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클라우드 이용바우처 사업,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대표 클라우드 기업, 분야별 AI·데이터 솔루션 특화기업 및 소프트웨어 기업 등 대부분이 참여해 선정됐다”며 “의료·제조·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기관이 동참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고 혁신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업 초기부터 데이터 활용이 다른 분야와 융합을 통해 산업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정부 측은 강조했다. 그 사례로 데이터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을 연계해주는 ‘AI 데이터 바우처 사업’의 수요기업 중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 아닌 비율이 지난해 41.2%에서 올해 84.8%로 늘었다.

정부는 데이터 댐 사업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당초 전망치보다 4000여명 늘어난 2만8000명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새로 생기는 일자리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구축 과정에서 생기는 일자리는 비정규직이거나 단기채용 인력이 될 것”이라며 “고용 효과를 지속하기 위한 후속 대책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