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중 환자 급증… 병상 확보 서두르고 의사 파업 끝내야

입력 2020-09-03 04:03
코로나 위중·중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병상 확보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자칫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중·중증 환자는 2일 0시 기준 124명이다. 하루 사이에 20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국내 코로나 발생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지난달 18일만 하더라도 9명으로 한자리에 그쳤지만, 16일 만에 14배가량 폭증했다.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당시 가장 많았던 때도 93명이었다. 방역당국은 기계 호흡에 의존하는 환자를 위중으로, 자발 호흡은 가능하지만 산소치료를 받는 환자를 중증으로 구분한다.

의료 당국은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200명대로 점차 안정되고 있는 것과 달리 당분간 위중·중증 환자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차 대유행에 비해 고령 확진자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신규 확진자의 약 36%가 60대 이상 고령층이다. 이들은 평소 지병이 있을 수 있는 데다 감염 후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크다. 중증 환자가 늘어나면 당연히 사망자도 증가할 뿐 아니라 의료체계 전반에 문제가 생긴다. 코로나 경증 환자는 물론 일반 환자 치료까지 영향을 미쳐 자칫 의료 시스템이 붕괴될 수 있다. 코로나 유행 초기 질병관리본부가 가장 우려한 것도 이 부분이었다.

중증 환자 치료를 위해 가장 다급한 것은 병상 확보다. 수도권의 경우 즉시 가동할 수 있는 중증 환자용 병상은 10개도 남지 않았다. 전국적으로도 43개에 불과하다. 정부는 중증 환자 전담 치료병원을 지정해 이달 말까지 110개 병상을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정되는 전담병원에 대한 적극적인 손실 보장과 인센티브 부여로 병상이 차질 없이 확충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 환자 분류 체계도 세밀하게 가다듬어 중증 환자가 제때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집단 휴진으로 의료진도 부족하다. 군의관까지 투입해야 할 정도로 절박한 상황이다. 의사 파업도 이제는 끝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