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은 철강도시이자 군사도시다. 해병대와 육·해·공군 관련 시설은 물론 미군부대까지 도시 곳곳에 산재해 있다. 한때 군부대로 인한 호황을 누리기도 했지만 도심이 확장하면서 기피시설로 전락했다. 재산권 침해, 소음 등의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군부대 폐쇄·이전 요구는 수십년 동안 이어지고 있다.
포항시 남구 장기면은 군 시설로 수십년간 피해를 입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다. 약 1000만㎡ 규모의 수성리 사격장이 마을과 1㎞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주민들은 불발탄, 유탄 사고는 물론 소음과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다. 최근엔 경기도 포천 영평사격장에서 실시하던 헬기 사격을 수성사격장으로 이전하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포항시의회 이준영 의원은 지난 1일 열린 임시회에서 수성사격장 이전과 집단 이주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주민을 이주시킨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수성사격장의 폐쇄와 완전 이전만이 답이다”라고 주장했다.
포항시 북구 송라면도 마찬가지다. 송라면 화진해수욕장은 지난 1982년부터 육군 제2작전사령부가 공용화기 사격장과 휴양소로 사용하고 있다.
포항공항 인근 주민들의 처지는 이보다 더하다. 주변 인구는 10만여명에 달한다. 주민들은 60여년 동안 항공기 소음 등으로 기본 생활권과 재산권, 학습권 등을 침해당하고 있다. 여기에 해병대가 2018년부터 헬기장 건설에 나서면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
김철수 포항시의원은 “지금도 민간 항공기와 군용기, 해군6전단 헬기 운용으로 막대한 피해를 보고 있다”며 “헬기장 건설은 절대 안 된다. 하루빨리 다른 지역으로 이전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