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신임 정책위의장에 임명되면서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직을 사임하게 된 한정애(55·서울 강서병·사진) 의원이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 중재 역할을 계속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정책위의장은 1일 오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빠른 시일 내 정책위 산하에 의료계 관련 사안을 다루는 태스크포스(TF)를 꾸리겠다”며 “전권을 다 위임받은 상태”라고 강조했다. 지난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를 찾아가 중재에 나섰던 그가 보건복지위원장에서 물러난다는 소식에 의료계가 격앙된 반응을 보이자 서둘러 수습에 나선 것이다.
그는 지난 28일 집단휴진 중인 대전협 소속 의료진을 만난 자리에서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신설 관련 법안 추진을 중단하고 국회 안에 협의기구를 설치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관련 법안도 여야가 합의해 처리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이틀 뒤인 31일 정책위의장에 임명되면서 그의 입장이 난처해졌다. 민주당도 한때 정책위의장과 보건복지위원장 겸임을 검토했으나 물리적으로 불가능한데다 겸직하지 않는 기존 관행에 따라 보건복지위원장을 사임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러자 의료계 일각에선 “국회가 뒤통수를 쳤다” 등의 성토가 쏟아져 나왔다.
한 위원장은 의료계의 반발을 의식한 듯 정책위의장으로서 의료계 현안 해결에 주력할 것임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보건, 복지 문제는 결국 당 정책위에서 다 조정해야 한다”며 “(정책위의장으로서) 의료계 관련 문제는 마무리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앞서 그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대전협과의 협상 과정을 언급하다 울먹이기도 했다. 그는 “길지 않은 정치인의 길을 걸어오며 한 분 한 분 만날 때마다 진심을 다하지 않은 적이 없다”고 운을 뗀 뒤 “지난 28일 저녁 전공의 및 의대생 대표들과…”라고 말하다 감정이 북받친 듯 말을 잇지 못했다. 감정을 추스른 뒤 이어간 발언에서 “전공의들과 만났을 때 3시간 동안 얘기하면서 순간순간 진심을 다했다고 생각한다”며 자신의 진정성을 호소했다.
양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