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농단 재판도 안끝났는데… 계속되는 위기에 침울한 삼성

입력 2020-09-02 04:03

삼성이 다시 위기에 내몰렸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일 ‘삼성 부정승계 의혹 사건’으로 결국 불구속 기소되면서 다시 사법부의 심판대에 서게 됐다. 삼성은 회사 차원의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한 삼성 관계자는 “국정농단 사건 재판도 아직 마무리가 안 된 상황에서 이 부회장이 또 재판을 받게 됐다”며 “사법 리스크가 계속되면서 투자 위축 등 사업 차질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검찰 수사심의위원회가 수사중단과 불기소 권고를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검찰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기소한 데 대해 허탈해하는 분위기도 있다. 이 부회장이 기소되면서 경영 리스크가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매우 강하다.

삼성전자는 이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건으로 2017년 3월 구속돼 2018년 2월 석방될 때까지 큰 어려움을 겪었다. 윤부근 삼성전자 고문은 “오너 공백으로 기업 인수·합병(M&A)이 완전히 끊겼다”고 말했다. 실제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하만 인수 후 대형 M&A를 하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를 고려해 선처를 바랐던 재계도 실망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은 한국에서 1개 기업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 부회장의 기소는 기업인들의 기대를 저버리는 것”이라며 “삼성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이나 업계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걱정했다.

코로나19 재확산,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내외 악재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삼성의 투자가 위축될 것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부정승계 의혹 관련 재판을 받는 동안에서 대규모 투자가 어렵지 않겠냐”고 했다.

수사심의위원회 권고를 수용하지 않은 검찰에 대한 불신도 표출됐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검찰은 기업인들에게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기관이고, 기업 운영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했다.

삼성의 ‘사법 리스크’는 4년째 이어지고 있다. 2016년 특별검사 수사로 촉발된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이 진행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부정승계 의혹 사건 재판까지 추가됐다. 사법 이중고다. 법조계는 이번 사건의 경우 최종심까지 5~10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한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