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지는 대전도시공사 사장 선임… 산적한 현안 어떡하나

입력 2020-09-02 04:06

대전시 산하 최대 지방공기업인 대전도시공사가 수장 공백사태를 맞게 됐다. 차기 사장 선임 절차가 지연되면서 현 사장의 임기만료 시점부터 열흘 가까이 업무 차질이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1일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에 따르면 현 유영균 도시공사 사장의 임기는 이달 18일 종료된다.

차기 사장에는 김재혁 전 대전시 정무부시장이 내정됐다. 지난달 24일부로 퇴직한 김 전 부시장은 1986년 국정원에 입사한 뒤 경제단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김 전 부시장에 대한 대전시의회의 인사청문회는 당초 지난달 말이나 이달 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됐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달 13일 기자간담회에서 “김 전 부시장이 도시공사 사장에 지원해 면접까지 마친 상태”라며 “신원조회 등을 거쳐 이달(8월) 말 시의회 청문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러나 김 전 부시장은 빨라야 9월 말에나 업무를 시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퇴직 공직자가 산하 기관장으로 자리를 옮기려면 인사혁신처의 공직자윤리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이달 25일로 예정된 윤리위원회 심의가 끝난 뒤에는 대전시의회의 인사청문 절차가 남아있다.

대전시의회는 김 전 부시장의 인사자료 등을 최대한 빠르게 검토할 경우 28일쯤 인사청문회를 개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임 사장의 임기 종료일로부터 최소 열흘은 사장자리가 비게 되는 셈이다.

이 기간 대전유성복합터미널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승인 결과가 나오는 등 굵직한 현안이 산적한 탓에 업무공백 우려는 더욱 높은 상황이다.

이에 대해 대전도시공사는 경영이사 직무대리 체제로 운영하며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역 정치권은 이 같은 상황이 대전시의 미숙한 행정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이른바 ‘회전문 인사’가 아니었다면 원래 일정대로 사장을 선임해 업무공백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주거복지·균형발전을 총괄하는 경제전문가로서 김 전 부시장의 역량이 여전히 검증되지 않은 상황이라고도 주장했다.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인 김찬술 의원은 “도시공사가 설립된 지 벌써 30년이 됐는데, 회전문이 아닌 말단직원으로 입사해도 사장이 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줘야 하지 않나”라며 “도시공사를 책임질 수 있는 경제전문가인지 심도있게 청문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